“현재 핵분열 방식의 원자력은 도태하고 30~40년 뒤에는 방사성폐기물이 나오지 않는 핵융합 방식의 원전으로 대체될 겁니다.”
조성진(사진) 경성대 에너지학과 교수(한국수력원자력 비상임이사)는 신고리 5·6호기의 건설 재개가 결정된 지난 2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우리나라 원전 기술의 미래를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7월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일시 중단을 결정했을 때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주인공이다. 조 교수는 1983년부터 원전은 물론 신재생에너지에 이르기까지 100여건의 논문과 연구보고서·특허를 발표하며 쌓아온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반대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조 교수는 인위적인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경계했다. 조 교수는 “정부가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현 상태의 핵분열 방식 원자력발전은 사라지고 30~40년 후에는 폐기물·방사능 오염이 없는 핵융합발전 시대가 오는 게 과학발전의 전개 과정”이라며 “누구라도 인위적으로 하지 않아도 현재 우리나라 기술 수준에 맞춰 원자력발전은 개선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재 핵분열 방식이 핵융합까지 가는 데 고비가 많지만 그 과정에서 한국은 현재 최고의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재생에너지가 국가의 메인 에너지로 자리매김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조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는 도서 산간 지역 주민 등을 위해 부차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훌륭하고 좋은 아이디어인데 국가 메인 에너지로 활용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많다”며 “유럽을 가보면 일정한 바람이 부는 바닷가나 황무지 같은 데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데 산을 깎아가면서 할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그렇다고 저는 신재생에너지를 하지 말라고 하지 않는다”며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20%를 채우려 하다 보면 또 사건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으로 결정됐다면 원자력발전소로 이사를 가려고 했다고 한다. 이번 일로 과학자들이 국민들에게 좀 더 가까이에서 많은 것을 설명해야 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원전이 문제가 있었다면 고리 발전소 옆에서 40년 사신 분들은 다 잘못됐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발전소 정문 앞에서 30년 동안 의원을 하는 친구 녀석이 있는데 그 친구 이야기를 들어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원전에 대한 오해를 갖지 않도록 과학하는 사람으로서 국민들에게 더욱 많은 설명을 해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