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국정감사]최운열 “경인사, 무분별한 문건 비공개 지정”

행정연구원, 경인사 소속 연구기관 전체 비공개 문건 95.5% 차지
공공요금·교통비·도서구입비 내역도 비공개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하 경인사)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무분별하게 비공개 문건을 지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인사로부터 받은 소속 연구기관들의 비공개 문건 현황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 8월까지 9개 기관이 총 5만 7,373건의 문건을 비공개 처리했다. 이 중 한국행정연구원(행정연구원)은 5만 4,773건을 비공개로 해 전체 기관의 비공개 문건 중 95.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원)은 2,374건(4.3%)으로 행정연구원의 뒤를 이었다.


공공기관인 연구기관은 국가의 중대한 이익과 관련한 내용, 민감한 개인정보 등을 제외하고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관련 사항을 적극 제공하고 공개해야 한다. 경인사 소속 연구기관은 이 예외사항을 사유로 한 해에만 최대 2만 건에 가까운 문건을 비공개 처리했다는 게 최 의원의 지적이다.

최 의원은 행정연구원의 경우 공공요금, 운영 잡비, 도서 구입비 지출과 같은 문건도 개인에 관한 사항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비공개 지정을 한 사례가 있어 무분별한 비공개 문건 지정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교육개발원도 시내교통비 지급, 면담수당 정산, 학술지 편집위원회 개최에 따른 회의수당 및 교통비 지급 등의 내역을 ‘국가안전보장·통일·외교관계 등에 관한 사항으로서 공개될 경우 중대한 이익을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정보’에 해당한다며 비공개 지정했다.

최 의원은 “경인사 소속 연구기관들의 비공개 문건 지정 행태는 상식적이지도 제대로 된 법 규정 적용도 아닌 그냥 지정해 놓고 보자는 식의 행정편의주의”라며 “연구기관의 정보는 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이 과정에서 반드시 보호해야 할 정보는 법에 따라 합리적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