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미국은 그동안 기후변화협약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았다.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유엔 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된 후 교토의정서(1997년)와 파리기후협약(2015년)을 거치는 25년 동안 미국은 줄곧 기후변화 대응체제의 발목을 잡아왔다.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1992년 리우 회의장에서 “미국인의 삶은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고 고집을 부렸다. 1998년 앨 고어 부통령이 교토의정서에 서명했지만 공화당의 반대로 의회의 비준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 버락 오바마 정부가 대통령 명령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겨우 파리협약을 비준한 것도 잠시 이번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4개월여 만에 또다시 탈퇴해버렸다.
최근에는 6년 넘게 내전에 시달린 시리아가 파리기후협약에 가입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이제 전 세계에서 파리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뿐이다. 미국이 기후협약 불량국가로 불리는 이유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이 올 7월 파리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수개월 내에 해결책을 찾아보겠다”고 약속하기는 했지만 여기에 얼마나 진정성이 담겨 있는지는 의문이다. 환경보다는 개발을 우선 생각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과연 미국에서 기후변화협약 불량국가라는 꼬리표를 떼어낼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오철수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