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비지표 반등 조짐…아직 낙관할 때 아니다

좀처럼 살아나지 않던 소비가 꿈틀거리기 시작했다는 정부 판단이 나왔다. 기획재정부는 10일 발표한 경제동향에서 “우리 경제는 세계 경제 개선에 힘입어 수출·생산 증가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그간 부진했던 소비가 반등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소비 반등이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은 올 4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내수 회복세가 견고하지 않다”던 한 달 전과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다. 제자리걸음만 하던 소매판매가 증가세로 전환하고 반도체장비 도입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설비투자도 늘어난 덕이다. 경기회복을 가로막던 가장 큰 장애물이 제거될지 모른다는 낙관론이 조심스레 고개를 드는 모습이다.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마냥 기뻐할 수 없다. 9월 소매판매가 전월보다 3.1% 늘어났다고는 하지만 긴 추석연휴를 앞둔 ‘선(先)구매’의 영향이 컸다. 당장 지난달 중순 이후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크게 줄어든 것 같다는 자영업자들의 하소연이 들린다. 설비투자도 5.5% 늘었지만 지난 두 달 동안 하락폭이 컸던데다 호황을 맞은 반도체를 빼고 나면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 취업자 수가 30만명대를 회복한 것 역시 상용직이 아닌 50~60대 일용직과 자영업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소비가 반짝 반등했을 뿐 본격 회복을 거론할 수준은 아니라는 경계론이 나오는 이유다.

우리 경제는 아직도 수많은 불확실성에 둘러싸여 있다. 북핵과 통상환경 변화,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경이라는 대외여건만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로 가계의 원리금 부담이 높아졌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업의 고용 의지도 꺾인 상황이다. 정부가 돈을 아무리 풀어도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최상의 해법은 기업 투자를 적극 유도해 일자리를 늘리고 가계소득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소비가 경기회복의 디딤돌이 되는 길은 이뿐이다. 반짝 호재에 취해 현실을 오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