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심에 있는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연일 코스닥 활성화를 위한 여건 마련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코스닥 기업 투자에 세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신규 벤치마크 지수를 개발해 기관투자가의 참여 유인을 높이겠다”며 구체적인 방식도 제시했다. 상장 요건도 완화해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겠다고도 강조했다. 한국거래소 역시 정지원 신임 이사장 취임 후 정부 정책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부가 움직이자 개인투자자들의 관심도 커졌다. 아무리 우량주 위주의 투자가 안전하다고 해도 개미들에게는 적당한 가격에 변동성이 큰 코스닥이 만만한 탓이다. 코스닥 시장의 일 평균 거래대금이 4조원을 넘는 등 실제로 투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의 코스닥 시장 분위기는 마치 지난 2000년대 초반을 연상케 한다. 당시는 외환위기 이후 정보기술(IT) 업체와 신생 벤처기업들이 대거 코스닥 시장에 진입하던 시점이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상장 요건을 완화하며 자본시장으로 새로운 기업들을 대거 끌어왔다. 20%에 육박하던 은행 고금리가 곤두박질치며 돈이 될 곳을 찾던 개인들은 ‘닷컴 열풍’을 타고 코스닥 시장으로 몰려들었다. 그 결과 코스닥 지수는 연일 급등하며 2000년 3월 2,834.4로 최고점을 찍었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다. 정점에 오른 지 9개월 만에 코스닥 지수는 81% 폭락한 525.8로 급전직하했다.
지금의 상승세가 과거의 코스닥 버블을 재현할지는 알 수 없지만 조심할 필요는 있다. 노조가 번번이 사측의 발목을 잡는다지만 이 시점에 거래소 노조의 말은 곱씹어볼 만하다. 거래소 노조는 최근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조치에 “정부가 액셀만 밟고 브레이크는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중소·벤처기업 활성화에 역점을 둔 정부 정책만 따라 정부가 압박하듯 연기금의 투자를 강요하는 모양새도 좋지 않다. 노후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연기금은 수익률보다 안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상장 요건을 완화하는 것도 좋지만 대충 해서도 안 된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상장 요건 완화로 493개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했다. 이 중 절반이 넘는 247개사(코스피 이전 및 자발적 상장 폐지 제외)가 상장 폐지됐다. 당시 증권가를 떠난 개미들의 상당수가 다시는 여의도 쪽을 쳐다보지도 않는다고 한다. 지나친 과속은 경계해야 한다.
/bright@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