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등 영상 콘텐츠에서는 인문학 강의와 엔터테인먼트가 결합된 ‘렉처테인먼트’ 바람이 불고 있다. 2040 세대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어쩌다 어른’ ‘말술클럽’ ‘차이나는 클라스’ ‘20세기 소년 탐구생활’ ‘유아독존(유식한 아재들의 독한 인물평 Zone)’ ‘명견만리’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등 인문학을 가미한 예능·교양 프로그램의 제작이 잇따르고 있다. ‘렉처테인먼트’의 이 같은 인기는 방송이라는 부담 없는 플랫폼을 통한 인문학의 잠재 수요가 발현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취업을 위해 실용학문을 선택했고 인문학에 대한 욕구가 배움의 현장에서는 억눌렸지만 취업과 상관없는 방송 등 엔터테인먼트에서는 자유롭게 수요로 이어졌다는 것. 여기에 빅데이터 등 수많은 정보 중에 ‘진짜’ 정보를 가릴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근본적인 지식, 즉 인문학에 대한 갈증 역시 이 같은 현상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우선 ‘알쓸신잡’은 ‘렉처테인먼트’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유희열·유시민·황교익·김영하·정재승 등이 국내 여행을 떠나면서 여행지에 얽힌 혹은 이와는 상관없는 인문학적 지식을 풀어낸 이 프로그램은 최고 시청률 8.5%(시청률 조사기관 닐슨코리아 유료 플랫폼 기준)를 기록하는 등 큰 사랑을 받았다. 최근에는 유현준(건축가), 장동선(뇌과학자)이 합류한 새로운 멤버로 시즌2를 시작했을 정도로 시청자들의 호응은 뜨겁다.
이보다 앞서 미국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 강연회, ‘명견만리’ ‘어쩌다 어른’ 등 텔레비전 강연 프로그램들이 렉처테인먼트의 물꼬를 텄다. TED는 18분 동안 진행되는, 과학에서부터 국제 이슈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강연이며 그동안 빌 클린턴, 앨 고어를 비롯해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적인 인사들이 연사로 나섰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5년 ‘명견만리’가 ‘렉처멘터리(lecture+documentary)’라는 장르를 개척하며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저명한 강연자와 방청객이 우리 사회가 직면한 이슈들을 함께 들여다보는 이 프로그램은 책으로 출간됐으며 문 대통령의 추천도서 목록에도 이름을 올렸다.
방송에서의 인문학과 대중의 만남은 시대에 따라 변신을 거듭해왔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는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라 정보의 전달에 오락성을 가미한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entertainment)’ 프로그램이 봇물을 이뤘다. 엔터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각 시대에 따라 시청자들이 요구하는 지식이 조금씩 다른데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에는 정보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면 현재는 정보가 넘쳐나 이를 거를 수 있는 안목을 키울 수 있는 인문학에 대한 갈증이 크다”고 말했다.
/연승·나윤석기자 yeonvic@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