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조감도
정부가 2020년 발사할 예정이던 한국형발사체를 최대 1년가량 연기해 두 차례 발사하기로 21일 전해졌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1년간 앞당긴 계획을 당초 과학계가 잡았던 계획대로 되돌린 것이다.
한국형발사체는 1.5톤급 실용위성을 600∼800km 고도의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3단 발사체를 말한다. 75톤급 1단로켓을 내년 말 시험발사하고 이후 75톤 엔진 4개를 묶어 300톤 1단로켓을 두 차례 발사하게 된다.
달 탐사와 관련해서는 해외 발사체를 이용한 달 궤도선은 2020년 말 발사하고 이후 한국형 발사체를 탑재한 달궤도선에 이어 달착륙선까지 ‘2030년 이내’ 발사하기로 했다. 또한 2030년까지 모든 중·소형 위성을 국내 기술로 발사하고 2034년까지 국가위성항법시스템(KPS)도 구축하겠다는 내용도 이날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우주개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한국형 발사체는 설계·제작·시험·조립·발사 등 모든 과정이 독자기술로 이뤄지며 총 사업비는 1조9,572억 원이다.
과학계는 원래 2018년 시험발사 뒤 2021년 본발사에 도전한다는 일정을 잡았지만 박근혜 정부는 지난 2013년 2017년에 시험발사하고 2019년과 2020년 각각 발사하겠다고 계획을 앞당긴 바 있다. 하지만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지난해 12월 국가우주위원회는 시험발사 일정을 2017년 12월에서 2018년 10월로 연기했다.
이에 따라 한국형발사체에 실리는 달착륙선 발사 일정도 ‘2030년 이내’로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달착륙선 개발과 발사 사업(달 탐사 2단계 사업)은 원래 2020년 이후 진행할 예정이었다.
앞서 한국연구재단은 산·학·연 전문가 96명으로 올해 3월부터 약 40회나 회의를 진행하며 의견을 모아왔다. 이날 전문가들은 “달 탐사 2단계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지 말고 도킹, 지구 재진입 등 달착륙선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했을 때 추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이번 공청회 내용은 12월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심의·확정할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에 반영된다. 3차 계획은 2018년부터 5년간 정부가 추진할 ‘우주개발 사업’의 밑그림 역할을 한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