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재활로봇을 미래 성장동력인 로봇산업 발전전략의 한 축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재활로봇 활용에 들어가는 비용을 건강보험 수가(서비스 가격)에 적절하게 보전해주는 체계를 마련하지 못해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중추신경계 재활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원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한 운동동작 정보를 반복적으로 최대한 많이 중추신경계에 입력하는 것이다. 척수손상으로 팔다리가 마비된 환자에게 트레드밀 위에서 3~4명의 물리치료사가 동시에 투입돼 양쪽 다리와 팔을 보행주기에 맞춰 보행훈련을 시키는 재활치료 방법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체계에서는 인력·비용·제도적 문제로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런 제약을 받는 치료는 이 밖에도 수두룩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재활로봇 활용이다. 재활로봇은 재활치료가 필요한 모든 환자에게 최소 시간에 최대의 훈련 양과 양질의 재활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최근에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해 치료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사막, 바닷가, 깊은 산속을 걷거나 백화점에서 쇼핑하는 등 가상체험을 하면서 재활치료를 받으면 힘도 덜 들고 지루하지 않아 치료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AR 기술을 이동형 보행보조 로봇에 적용하면 건물 밖에서 건물 내 상점의 이름·전화번호·위치, 보행 관련 생체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실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런 변화로 인해 앞으로 우리의 삶은 엄청난 변화가 따를 것이다. 전자태크(RFID)·휴대폰을 통해 자신의 치료 이력이 자동 인식돼 매번 자료를 입력하지 않아도 알아서 치료를 해주는 기능을 추가한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자신의 건강관리 상태, 장애에 대한 다양한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재활로봇의 등장은 재활치료의 질과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이다.
재활로봇의 역할은 신체적 훈련은 물론 인지훈련 분야에서도 지능적 진보를 계속하고 있다. 전 국민이 가장 두려워하는 치매 재활훈련에도 인지형 재활로봇이 개발돼 활용되고 있다. 인지치료 외에 환자의 보호자 역할도 수행해 핵가족, 맞벌이 시대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로봇 산업은 글로벌 선도 업체가 없고 산업용·교육용·완구용·청소용 로봇에 치우쳐 있다. 다양한 로봇 기술이 개발되고 재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시도가 있지만 임상적용 선진국인 미국·유럽·일본에는 못 미쳐 갈 길이 멀다. 미국에서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이 2014년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병원·가정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보행은 기본이고 팔과 손의 재활·보조를 돕는 로봇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
이런 여건 속에서도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다리재활·손재활·팔재활·인지재활 로봇 등 각 분야별로 최고의 제품을 개발, 의료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활로봇 기술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재활로봇을 활용할 경우 건강보험 수가로 비용을 보전해주는 체계가 크게 미흡해 의료현장에서 외면 당하고 있다. 미래 산업의 블루오션인 재활로봇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적정 의료수가를 산정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 최고의 재활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로봇 산업이 활성화돼 산업계·의료계가 한마음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