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구, 28년만에 1,000만명선 깨졌다

작년 기준 서울시 거주 내국인
993만명…6년 연속 감소세
주거비 부담·공공기관 이전 탓
저출산 문제도 인구 감소 한몫



서울시에 사는 내국인이 28년 만에 1,0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서울시가 6일 발표한 2016년 기준 ‘서울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서울의 총인구는 1,020만4,057명으로 이 가운데 내국인 993만616명, 외국인은 27만3,441명이었다. 서울시 인구는 지난 1988년 1,000만명을 넘어선 이후 줄곧 유지해왔지만, 최근 6년 연속 인구가 줄어들다 지난해에 결국 1,000만명선이 무너진 것이다.

서울시 인구가 줄고 있는 이유는 땅값·집값 등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주거비가 크게 높아지면서 시민들의 부담이 커진 탓이 크다. 실제 서울시가 지난해 서울을 떠난 사람들에게 이유를 물어본 결과 “주택문제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이 48.5%로 절반에 육박했다.

기존에 서울에 있던 공업단지를 비롯해 공공기관 등이 이전한 것도 큰 이유다. 특히 최근 몇 년 간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에 터를 두고 있던 공공기관 등이 지방으로 이전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 서울시 설문조사에서도 직장 때문에 서울을 떠난다고 응답한 사람 비중이 17.2%로 세번째로 많았다.


서울시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 등 서울 인구 과밀화 해소를 위한 정부의 인구 분산정책이 최근 인구감소에 큰 영향을 끼쳤다”며 “전반적으로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서울시 인구가 줄어들면서 인구밀도도 함께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서울의 1㎢당 인구는 1만6,861명으로 1987년 1만6,503명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손태규 단국대 사회과학대 교수는 “한 지역의 인구밀도가 낮아지면 노동력 이 부족해지고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면서 “반면 쾌적한 생활환경이 조성돼 범죄가 감소하고, 교통혼잡이 개선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인구감소와 더불어 눈에 띄는 현상은 고령화다. 지난 2014년 처음 40대에 접어든 서울시민들의 평균 연령은 2015년 40.6세, 지난해엔 41.1세가 됐다. 65세 이상 인구도 130만1,000명으로 전체 서울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7%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0.4%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생산가능인구(만15~64세)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난 2005년 9.4명에서 지난해 16.8명으로 증가했다. 고령화 영향으로 의료기관도 늘어나고 있다. 서울 내 의료기관은 지난해 1만6,896곳으로 전년보다 1.7% 늘었다.

저출산 여파로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에 다닐 연령대인 학령인구(만6~21세)도 감소세다. 특히 초등학생은 2011년 53만6,000여명에서 지난해 43만6,000여명으로 5년 새 10만여명(18.6%)이나 줄었다.

한편 시민들의 생활관련 통계도 집계됐다. 지난해 서울에서는 하루 평균 206명이 태어나고 119명이 사망했다. 157쌍이 부부가 되고 49쌍이 이혼을 했다. 또 자동차는 72대가 증가했으며, 226명이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았다.

서울시는 1961년부터 매년 12월 20개 분야 342개 분야 통계를 발표하고 있으며, 통계연보는 서울통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