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시들해지는 영재교육원

특목고 입시서 가점 못받고
자기소개서에 적시도 못해
"입시에 별 도움 안 된다"
경쟁률 3년 연속 하락세

영재교육원 인기가 시들해지고 있다. 어린 학생의 잠재 능력을 조기에 발굴해 계발하기 위한 영재교육원은 영재고·영재고 진학을 위한 ‘사전 코스’로 여겨지면서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조기 교육이 일반화되고 입시에 도움이 안 된다고 알려지면서 경쟁률이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10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접수 마감된 서울시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의 영재교육원은 올해 2.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총 5,980명을 뽑는데 1만3,339명이 지원했다. 경쟁률은 2016년 2.96대 1과 2017년 2.66대 1에 이어 3년 연속 하락세다.

영재교육원은 크게 대학부설 영재교육원과 전국 지역별 교육청 영재교육원, 각 학교 운영 영재학급에서 이뤄진다. 이 가운데 정부 예산 지원이 없는 영재학급을 제외하면 교육청 영재교육원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비율로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한때 영재고와 과학고의 사전 코스로 알려졌던 영재교육원이 학부모 관심에서 멀어진 가장 큰 이유는 ‘입시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서울 강남의 한 학부모는 “영재교육원 출신이라는 점이 입시에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주변 학부모들이 대체로 알고 있다”며 “오히려 아이가 ‘영재’라는 부담 때문에 기대에 못미치는 성과를 내는 사례도 많이 봤다”고 말했다. 특목고 입시에서 가점을 받을 수 없고 자기소개서에 영재교육원 출신이라는 사실조차 적을 수 없어 효용성이 낮다는 얘기다. 게다가 방과 후나 주말을 이용해 수업을 받아야 하다 보니 사교육을 받는 일반 학생보다 성적 향상이 더디다며 영재교육원을 포기하는 학부모들도 있다. 정부가 수시와 학생부종합전형 등 내신 위주의 입시 정책을 강화하는 추세여서 내신 관리에 집중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잠재 능력을 발굴한다는 당초 취지와 달리 ‘영재 사교육’을 받은 학생들로 영재교육원이 채워지는 등 희소성 자체가 낮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작 영재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이 영재교육원에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마저 벌어지면서 당초 교육 목적이 퇴색했다는 지적이다.

영재교육원에 자녀를 보냈던 한 학부모는 “일부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은 일반 학생들이 감당할 수 없는 높은 수준이라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오히려 떨어뜨린다”며 “영재교육원 다닐 시간에 학원을 보내는 게 더 도움이 된다는 학부모가 많다”고 전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