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 조성 밑그림 나왔다

원도심 근현대 자산을 엮는 ‘통째로 박물관(Ecomuseum)’의 허브기능 되야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은 원도심의 역사문화자원, 관련 기관 등과 연계하는 허브 역할을 하는 방향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1일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 조성 기본계획’ 연구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 조성 방향을 제시했다.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은 옛 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6,506㎡)과 현재 근대역사관(2,196㎡) 두 건물을 포함해 총 연면적 8,702㎡ 규모로 조성된다. 대상지 인근에는 용두산공원, 대청로 등 대한민국 근현대 자원들이 모여있다. 이에 따라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조성되면 전국 최초로 주변의 근현대 역사 자원까지 아우르는 대규모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을 에코박물관(Ecomuseum) 허브로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에코박물관은 개별 시설에서 벗어나 다차원적 소통을 전제로 한 집합시설이자 구성체로 지역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하는 복합적인 역할을 하는 박물관 개념이다.

보고서는 1963년도에 지어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0호로 지정된 옛 한국은행과 1929년에 건립돼 부산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된 현재 부산근대역사관을 통합한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역사성에 주목하고 있다. 부산 전역의 근현대성을 담아내면서 주변 원도심의 근현대 역사문화자원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근현대 역사박물관 조성지 주변에는 6.25 한국전쟁 시 피란수도의 대통령 관저였던 임시수도 기념관, 백산기념관, 40계단 문화관 등과 함께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등 근현대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이 부근에는 역사문화관광벨트, 부산도시역사관, 임시수도 상징거리, 보수동 도시재생활성화 등 다양한 사업들이 계획되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형균 선임연구위원은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은 부산과 동남권 일대에서 다양하게 전개된 근현대성을 진솔하게 담으면서 원도심의 정체성을 담아내기 위해 주변 역사문화자원, 관련 기관 등과 유기적인 연계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라 말했다. 즉 부산 근현대성을 재현하는 전시공간과 함께 주변의 근현대 역사를 연계할 수 있는 허브 기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개항 150년을 정리하고 향후 미래를 공감하는 의미에서 박물관 프로젝트명을 M일오공+(M150+·엠 일오공 플러스)로 제안하고 있다. ‘M’은 ‘Museum’의 약자로 박물관을 의미하고, ‘150’은 대한민국 최초 개항인 1876~2026년의 근현대 역사의 면면한 관통을 의미하며, ‘+’는 시간과 공간의 확장성을 함께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역사와 추억을 매개로 한 열린 전시체험공간을 제공하면서 주변에 산재한 근현대 역사를 연계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야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이 단순한 박물관 시설에서 벗어나 ‘원도심 전역을 한 묶음으로 통째로 박물관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부산 근현대 역사박물관의 전시 구상과 관련해 부산의 근현대성, 대륙과 해양의 조우(遭遇) 디오라마(Diorama)를 바탕으로 개항전사(前史)부터 일제강점기, 피란수도, 산업화, 민주화를 거쳐 미래까지 10가지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주요사건과 150가지의 기억을 제시했다. 공동연구진인 박상필 연구위원은 “부산의 근현대성을 대표하는 주요 역사적 계기를 토대로 10개 주제로 나눠 시민공모를 통해 150개의 이야기를 전시하는 구상”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러한 전시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조직형태와 인력, 예산 등을 산정했다. 기존원칙은 인력은 철저한 전문화, 운영은 적극적 개방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부산시는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근현대역사 및 전시기획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실행방안을 더욱 구체화하는 등 2020년까지 명실상부한 부산근현대를 대표하는 역사박물관을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