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형 창업의 대부분은 디지털과 첨단정보통신기술(ICT), 그리고 분야 간의 융합이 특징이다. 종사자들이 원하는 산업생태계 환경 조건이 갖춰진 곳에서 활발한 창업이 이뤄진다. 이를 실현하는 창의적 인재들은 24시간 일하고 협업에 익숙하며 자유롭고 개방적이다. 자신의 일뿐만 아니라 놀이와 만남·휴식도 중요하며 거주공간은 일하는 장소와 가까이 있어야 한다. 창업지원 주거는 바로 이러한 새로운 인재들의 특성과 요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혁신형 창업의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 보스턴시 ‘혁신지구(innovation district)’의 노력을 살펴봐야 한다. 보스턴시는 ‘창업주거(innohousing)’를 제공하기 위해 혁신지구 내 새로운 개발에 대해 면적의 15%를 창업 주거공간으로 조성하도록 의무화했다. 창업주거는 소형주택이지만 창업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새로운 복합 주거공간이다. 협업하며 일하고 언제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특별한 장소다. 까다로운 입주 조건 없이 청년들이 부담 가능한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된다. 주목할 부분은 생활 속에서 ‘우연한 협력(unplanned collaboration)’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공동부엌과 식당·회의실·강의실이 혼합된 거점 공유공간(district hall)을 조성해 활발한 창업활동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창업자의 대부분이 주거가 필요하다고 한다. 공공에서도 본격적으로 창업지원주택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작지만 주거와 창업지원시설을 결합해 조성한 주택이다. 하지만 수요자 입장에서 만족도는 높지 않다.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경제적 여건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주택 위치가 창업이 활발한 지역이나 접근성이 뛰어난 도심이 아니라 외곽 지역이고 입주조건도 까다로워 신청 자체도 어렵다. 더 큰 문제는 일반적인 임대차 계약을 따라야 하다 보니 주머니가 가벼운 예비 창업자들이 부담할 만한 가격과 유연한 임대기간과는 거리가 있다는 점이다.
창업지원 주거는 철저히 수요자 맞춤형 공간으로, 그리고 자유로운 임대기간과 부담 가능한 비용으로 공급돼야 한다. 미래 산업을 대비해야 하는 현시점에서 창업지원 주거는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도로·상하수도 같은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로 봐야 한다. 도시 산업생태계를 되살리고 도시재생 활성화를 견인하는 도시 경쟁력의 필수 요소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 키워드인 융합은 산업·공간·주택 분야를 넘나드는 창업지원 주거정책 수립에도 예외 없이 적용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