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열린 ‘경북 청년정책연구센터’ 개소식에서 ‘청년한옥 게스트하우스’ 창업 아이템으로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1호로 꼽힌 도원우(26·오른쪽 둘째)씨 등이 김관용(가운데) 경북도지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북도
경북도는 내년부터 도시청년 커플이 시골에 와서 농촌 자원을 활용해 창업하면 1인당 연간 3,000만원씩 총 6,000만원의 정착금을 지원하는 파격 제도를 도입한다. 심사를 거쳐 정착비를 최대 3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도시청년이면 당연히 지원받을 수 있고 커플 중 한 명이 농촌(어촌)청년이어도 상관없다. 이 사업을 통해 정착한 청년 커플이 출산을 하면 별도의 양육비도 3년간 지원할 방침이다.
청년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면서 소멸 위기를 맞은 시골을 살리기 위해 내놓은 고육책이다. 경북도는 전국 처음으로 도입하는 이 제도가 청년 유입과 함께 일자리 창출, 출산 장려 등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7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 소멸이 현실화하면서 고령화 수준이 높은 경북과 전남 등이 파격적인 청년 정책을 쏟아내며 청년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전남의 평균 연령은 44.7세로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고 다음은 경북으로 44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 평균 연령인 41.2세보다 세 살 가까이 많은 수준이다.
인구소멸지수 전국 1위인 경북 의성군은 내년에 의성 출신 조선 최초 통신사 박서생의 통신사선 등을 재현해 청년 유치에 팔을 걷어붙인다. 낙동강 낙단보 인근을 투어할 수 있는 청년통신사선을 제작하고 청년 선장·선원을 채용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일대에 컨테이너를 개조한 청년예술가촌을 조성, 미술·창작·조형 등 분야의 창의적인 청년들을 끌어들인다는 계획이다.
의성군의 인구소멸지수는 0.158로 전국 228개 지자체 중 가장 높다. 인구소멸지수는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지표로 이 지수가 0.2 미만이라는 것은 이미 소멸 고위험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의미다.
경북도는 최근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형 청년 정책의 근간이 될 ‘경북 청년기본조례’를 제정한 데 이어 지자체 처음으로 ‘청년정책연구센터’를 대구경북연구원 내에 열었다. 청년정책연구센터는 앞으로 청년 유입과 정착 지원을 위한 국내외 사례조사 및 연구과제 수행 등을 통해 경북 청년정책의 기반을 제공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청년정책연구센터 개소를 계기로 대학·연구원, 시·군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청년이 찾아와 일자리를 만들고 마을공동체를 복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시범 도입해 가능성을 확인한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는 내년부터 본격 시행한다. 이 제도는 끼 많은 도시청년의 농촌 정착을 돕는 것으로 교육·컨설팅, 우수 창업아이템 발굴 등 자립기반 구축을 위해 3년간 매년 3,000만원을 지원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현 추세라면 앞으로 30년 안에 경북 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17개 시·군이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청년이 찾아오는 경북’을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역시 극심한 청년 인구 유출이 지방소멸 위기를 앞당기는 주원인이라는 판단에 따라 청년 유치에 올인하고 있다. 민선 6기 도정 목표는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으로 정했다.
이를 위해 8월 인구문제 총괄부서인 인구정책팀을 신설한 데 이어 조만간 인구 늘리기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전남도의 종합적인 인구정책 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근에는 전국 최초로 전남도와 일선 시·군의 청년정책을 홍보·공유하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청년정책 박람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내년부터는 청년 희망디딤돌 통장 개설·운영, 청년센터 설립·운영 및 시·군 센터 인건비 지원, 청년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프로젝트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안동=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무안=김선덕 기자 sdk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