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Market] 바이오산업 성패 '플랫폼'에 달렸다

이혁종 바이넥스 대표
兆단위 투자 필요한 플랫폼 구축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필수 조건
글로벌 생산 플랫폼 먼저 갖추고
中 등 파이프라인 도입도 검토를

[Science&Market] 바이오산업 성패 플랫폼에 달렸다
많은 사람들은 바이오산업을 두고 예측이 힘들고 난해한 업종이라고 단정한다. 하지만 바이오산업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있다면 이만큼 이해가 쉽고 명확한 분석이 가능한 산업도 없다. 최근 많은 바이오 기업들이 짧은 시간에 주목받고 또 사그라지는 가운데 과연 어떤 기업이 시장을 최종적으로 주도할 것인지, 산업의 진정한 승자는 누가 될 것인지에 대해 살펴봤다.

바이오의약품은 완전 복제가 가능한 합성의약품과 달리 100% 동일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허가 기관들은 바이오의약품의 제품이 아닌 생산·공정 과정 자체를 허가한다. 선진 GMP 기준에 맞춘 생산과 공정, 즉 플랫폼 구축이 선행되는 것이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필수 조건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조원에 달하는 시설 투자 비용뿐 아니라 장기간 축적된 생산 경험과 노하우, 공장을 지속해 가동할 수 있는 제품 등도 필요하다.


바로 이런 요소들이 일반 제약·바이오 기업들에 큰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 예컨대 대규모 투자로 바이오 생산공장을 구축했지만 제품 파이프라인의 개발이 실패 혹은 지연돼 공장 자체를 제대로 가동할 수 없는 일이 생길 수 있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큰 손실을 지속적으로 입게 돼 결국 사업 자체를 포기하는 일도 발생한다. 과거 한화라는 거대 그룹사가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뛰어들어 대형기술 이전 계약(라이선싱 아웃)을 맺는 등 성공 직전까지 갔지만 현재로서는 바이오 사업을 포기한 이유도 유사했다. 기대했던 제품의 상용화가 계속 지연되자 미리 구축해놓은 바이오의약품 공장이 아무 제품도 생산하지 못하는 무용지물이 됐고 가만히 있어도 매년 수십억원의 손실을 내는 상황에 이르자 결국 사업을 접은 것이다.

이처럼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럼에도 바이오산업의 정답은 플랫폼에 있다. 대규모 투자를 통한 플랫폼 구축이 선행돼야 주도적이고 효과적인 바이오산업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장을 운영할 콘텐츠의 경우 초기에는 굳이 자체 개발이 아니더라도 자금을 들여 우수 파이프라인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역시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공장 구축을 우선해 플랫폼을 확보한 후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개발에 착수했다. 두 기업은 검증된 바이오플랫폼을 갖추고 바이오시밀러 사업도 안정화한 후에야 비로소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투자를 준비 중이다. 결국 확실한 플랫폼을 소유한 기업만이 바이오산업의 산업화를 주도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추가로 요즘 바이오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은 중국이다. 한국은 지리학적, 그리고 산업 사이클상으로 중국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정부 차원의 대규모 투자와 적극적 지원을 토대로 이뤄진 중국의 성장은 경이로움을 넘어 두려움까지 느껴질 정도다. 다행히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여느 타 산업과는 달리 중국과 일본 사이에 고립된 샌드위치 상황이 아니다. 한국의 바이오 의약품 산업의 산업화 수준은 일본을 월등히 뛰어넘어 오히려 일본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구애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최근 거대한 자금력을 동원한 공격적인 투자로 신약 개발 수준은 상당히 올라왔지만 여전히 생산과 같은 플랫폼에서는 아직 한국과 3~5년 정도 격차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러한 중국의 추격을 마냥 견제하기보다는 양국의 건설적인 성장을 위해 더욱 끈끈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갖춘 글로벌 수준의 생산 플랫폼에 중국의 우수 파이프라인을 더할 수 있다면 한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확신한다.

이혁종 바이넥스 대표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