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벤처기업 취업 팁] IT 기본지식 필요…벤처캐피털이 투자한 곳 노려라

주로 모바일 서비스·새 기기 개발
여러 분야에 IT 지식 적용 요구
수시채용 많아 취업정보 제한적
VC·PEF 투자 유치기업 안정성↑



혁신성장이 정부의 새로운 국가 전략으로 떠오르면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구직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이들 기업을 혁신성장의 주역으로 삼아 모든 정책 역량을 쏟아 부을 방침이다.

물론 대다수 청년들은 여전히 대기업이나 공무원 등을 취업 대상 1순위로 꼽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근 변화하는 정부 정책의 흐름을 읽고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에 취업의 문을 두드리는 청년들도 늘고 있다. 최근 들어 대규모 자금을 유치한 스타트업들이 출현하고 해외로 진출하는 벤처기업들이 늘면서 채용 규모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벤처기업에 종사하는 직원 수는 76만4,000명으로 이미 삼성 등 6대 그룹의 종사자 수 총합(76만9,395명)에 육박했다.

그렇다면 새롭게 뜨고 있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에 취업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이들 기업은 대기업처럼 채용 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하는 곳이 드물다. 인터넷·게임·모바일·제약·핀테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람을 뽑지만 수시 채용이 대부분이어서 구직자들 사이에 정보 교류도 활발한 편이 아니다. 스타트업의 경우 하루에도 수십 개가 생겨나고 없어지는 현실을 고려하면 구직자 입장에서 어떤 곳이 망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전문가들은 이럴 땐 벤처캐피탈(VC)이 투자한 기업들을 취업 대상 목록에 올려놓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VC는 ‘싹수가 보이는’ 스타트업이나 벤처에 주로 투자하기 때문이다. 임경준 벤처기업협회 혁신벤처정책연구소 부장은 “ “VC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은 당장 매출이나 이익이 발생하지 않아도 일정 기간은 투자금으로 사업을 끌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밝혔다.


실제 국내 스타트업 가운데 글로벌 VC나 사모투자펀드(PEF) 등으로부터 거액의 투자를 유치한 곳이 꽤 있다. 음식 배달 어플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중국의 유명 투자사인 힐하우스캐피털그룹이 주도한 컨소시엄으로부터 5,000만달러(570억원)을 유치했고, 2014년엔 골드만삭스로부터 400억원을 투자받았다. 화장품 유통서비스 스타트업인 비투링크도 지난해 국내 증권사로부터 50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스타트업보다 사업이 안정적인 궤도에 올라 있는 벤처기업의 경우엔 직원들에게 대기업 못지 않은 대우를 해주는 곳이 많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벤처기업협회가 발표한 2016년 ‘벤처천억기업’ 513개사 중 금융감독원에 사업·반기보고서를 제출한 265개사의 직원 1인 평균급여액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공장 자동화 설비 기업인 톱텍이 6,1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네이버의 평균 급여가 5,922만원으로 두 번째로 높았고 이지바이오(5,600만원), 골든블루(5,300만원), 씨에스윈드(5,200만원), 서울반도체(5,169만원), 아세아텍(4,716만원), 코맥스(4,7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임 부장은 “직원 처우가 좋다는 것은 그만큼 매출과 영업이익 등이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유력 신문이나 방송 등에 많이 소개된 곳에 지원하는 것도 방법이다. 언론 등에 정보가 노출된 기업일수록 사업 모델이나 수익성, 성장 가능성 등이 검증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타트업에 대한 취업 정보를 주로 다루는 사이트인 잡플래닛이나 로켓펀치 등을 꼼꼼히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다.

벤처기업의 취업 정보는 중소벤처기업부와 벤처기업협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브이잡(V-Job)을 활용할 만하다. 브이잡에는 벤처기업협회에 등록된 기업들의 채용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정보도 수시로 업데이트된다.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은 ‘유틸리티 플레이어’다. 처음에 마케팅 부문으로 입사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영업·제휴·서비스 기획 등 다른 분야에서도 일할 자세가 된 인재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재호 비투링크 대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스타트업의 특성상 실수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인재가 필요하다”며 “여러 국가의 인재들과 함께 일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팀워크를 중시한다”고 설명했다.

정보기술(IT)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필요하다. 여행·헬스케어·게임·유통 등 분야는 다르더라도 대체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에 기반한 서비스이거나 새로운 기기를 만들어 사업하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IT전문기업인 아이뱅크 관계자는 “온라인 환경이 PC에서 모바일로 급격히 중심이동을 하고, 인공지능, 데이터분석, 사용자경험 등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며 “IT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