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신과 함께-죄와 벌’이 누적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하면서 한국 영화로는 16번째, 해외 영화를 포함해서는 20번째 ‘천만 영화’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전체 인구가 5,177만명임을 감안하면 관객 1,000만명이라는 수치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경이로운 천만 영화의 코드는 무엇일까. ‘신과 함께’가 한국인의 보편정서를 담았듯이 ‘실미도(2003년)’ ‘태극기 휘날리며(2004년)’ ‘괴물(2006년)’ ‘해운대(2009년)’ ‘명량(2014년)’ ‘7번방의 선물(2013년)’ ‘부산행(2016년)’ 등 16편의 역대 천만 영화들은 하나같이 가족애와 애국심을 전면에 내세워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여기에다 친숙한 스토리와 단순한 서사구조가 천만 영화를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친숙한 스토리는 관객층의 폭을 넓게 만들어줬다. 정 평론가는 “공동체에 대한 사랑이라는 코딩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게끔 10대부터 70대까지 캐릭터를 등장시켜 각 연령대가 공감할 수 있도록 배치한 것도 두드러진 특징”이라며 “‘신과 함께’ 역시 엄마와 아들, 군대 이야기 등 전 세대를 겨냥한 코딩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윤성은 평론가는 “‘신과 함께’의 경우 40대 중반 이상에게는 낯설 수 있는 판타지 장르였지만 저승세계 등 중년 이상에게 친숙한 배경이 판타지에 대한 저항감을 해소했다”며 “판타지 장르가 전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좋은 예”라고 말했다.
단순한 이야기 또한 흥행요소로 꼽힌다. ‘광해, 왕이 된 남자’에 이어 ‘신과 함께’ 등 2편의 천만 영화를 제작한 원동연 리얼라이즈픽쳐스 대표는 “판타지를 비롯해 모든 장르가 많은 관객에게 사랑을 받으려면 스토리 구조는 최대한 단순해야 한다”며 “현학적이거나 복잡한 내용은 공감을 사기 어려울뿐더러 가장 많이 아는 사람이 가장 쉽게 이야기를 전달하듯 영화의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면 이야기는 무조건 쉬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