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 일부 재건축 거래 가능 땐 서울 매매 동반한 집값 상승 불보듯

[시장 못 이기는 정부-부동산 정책 실패]
<아파트값 어떻게 되나>
지방은 물량 늘어 하락 지속
초양극화 현상 더 심화할 듯

집값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서울과 지방, 서울 내에서도 강남과 강북 간 격차가 확대 일로다. 전문가들은 올해 서울 요지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겠지만 수도권과 지방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오는 25일 이후 일정 요건을 갖춘 재건축 아파트 조합원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거래 없는 호가 위주의 가격 상승 기조에서 거래를 동반한 가격 상승 분위기로 번질 것으로 예상된다.

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은 4.69% 올라 전국 아파트 가격 상승률(1.08%)을 크게 웃돌았다. 서울 중에서도 강남 3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강남구 아파트 가격은 6.58% 올랐으며 서초구는 4.78%, 송파구는 8.72% 올랐다. 이 같은 현상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거래량도 늘어나는 추세다. 실제 지난해 8월 정부가 8·2부동산대책을 통해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강화 등 강력한 규제책을 쏟아낸 후 강남 3구의 아파트 매매거래가 뚝 끊겼으나 지난해 12월에는 겨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 3구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8월 이후 월별 기준으로 가장 많은 1,865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6년 12월의 1,312건에 비해 42% 증가한 수치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정부 규제로 거래가 막히면 가격이 안 오를 것이라고 봤는데 오히려 희소가치가 높아지면서 가격이 높아졌고 이제는 거래가 가능한 초기 정비사업장 위주로 거래가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그간 강남을 중심으로 한 주택 가격 상승 지속에도 불구하고 거래량이 많지 않다며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가격 상승과 거래량 증가가 동반되면서 정부도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고위관계자도 “전통적인 거래 비수기임에도 최근 거래량이 많다”며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진단했다.


이런 가운데 이달 말부터 실거주 목적으로 강남 재건축을 장기간 보유한 조합원 물량이 매물로 나오면서 거래량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10년 이상 보유하고 5년 이상 거주한 1가구 1주택자에 한해서는 조합원 지위 양도를 허용하도록 예외조항을 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개정안을 25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강남 집값과 달리 지방 집값 전망은 우울하다. 지난해 지방 아파트 가격은 0.41% 떨어졌으며 올해도 약세가 예상된다.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나는데다 경기 위축으로 수요가 줄어드는 등 집값 상승동력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44만여가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서울 강남과 다른 지역과의 집값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똘똘한 한 채를 가져가려는 압축투자 경향이 짙어지고 유통물량이 줄면서 전국적인 투자시장인 강남만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며 “비이성적 과열이 계속될 경우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