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대통령의 정신건강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감정조절을 못하는 인물이었다. 증세가 심해 ‘발리움’이라는 신경안정제를 매일 입에 달고 살 정도였다. 그도 그런 자신이 불안했나 보다. ‘오만한 권력:리처드 닉슨의 비밀세계’라는 책을 보면 닉슨은 대통령 재직 시절 국방장관에게 자신이 탄핵을 받으면 해병대를 출동시킬지 모르니 막아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비록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불명예 퇴진을 했지만 자신 때문에 파국이 오는 것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의무감이 엿보인다.


불안정한 정신상태를 가진 대통령이 닉슨만은 아니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도 젊을 때부터 극심한 우울증에 시달렸다. 어릴 때 남동생과 어머니를 잃은 데 이어 성인이 돼서도 정치적 실패, 아들의 죽음을 겪으면서 정도가 더욱 심해졌다. 링컨이 호주머니에 칼 같이 무기가 될 만한 것들을 넣고 다니지 않았던 것이나 나무가 많은 곳에 가는 것을 극도로 꺼렸던 것은 순간순간 일어나는 자살 충동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한 마지막 안간힘이었다. 링컨이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데는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얻은 강인함이 깔려 있다.

반대로 정신병으로 나라 전체를 망가뜨린 권력자도 있다. 15세기 프랑스의 ‘광인왕’ 샤를 6세는 24세에 정신병을 얻고 이후 암살에 대한 피해망상증까지 겹치면서 국정수행 능력을 상실했다. 프랑스가 극심한 혼란에 빠진 것은 당연했다. 무주공산이 된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권력다툼이 극에 달했고 영국과의 전쟁도 일어났다. 피해는 오롯이 백성들의 몫일 수밖에 없었다. 광인을 최고권력자로 둔 국가의 비극이다.

미국이 때아닌 대통령 정신건강 논란으로 시끄럽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신건강에 의혹을 제기한 ‘화염과 분노:트럼프 백악관의 내부’ 출간과 직무불능 대통령을 쫓아낼 수 있는 수정헌법 25조에 대한 논의가 백악관에서 매일 벌어진다는 저자 마이클 울프의 인터뷰가 불길이 키웠다. 문제는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그 대통령이 ‘핵 단추’를 쥐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인들이야 스스로 선택한 일이니 할 말이 없다 치자. 하지만 한 표도 안 준 우리까지 왜 긴장을 해야 하나. 이래저래 걱정이다. /송영규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