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특별사면돼 교도소에서 나온 이충연씨/연합뉴스
2009년 용산참사 당시 철거대책위원장이었던 이충연(45)씨는 “9년이 지난 지금도 ‘용산’은 반복되고 있다”며 용산참사 진상규명과 더불어 강제철거 관련 제도 정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이 씨는 참사 당시 남일당 건물 위에 설치한 망루에서 농성하다가 불을 내 경찰 1명을 숨지게 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철거민 7명 중 1명이다. 이 씨는 지난 9년간 기존 수사 결과는 경찰과 검찰, 나아가 이명박 정부가 진실을 은폐하려고 만든 짜 맞추기일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또한 “수사는 물론 재판 과정에서도 내 주장은 전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모조리 묵살됐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3년 1월 특별사면에서 다른 관련자 3명과 함께 형 집행 정지 사면을 받고 풀려난 이씨는 지난달 29일 문재인 정부 첫 특별사면 대상자에 포함돼 복권됐다. 경찰은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용산참사에 대해 재조사를 하겠다고 나섰다. 이 씨는 “어디까지나 경찰이 꾸린 조사위여서 진실 규명에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면서 “다만, 시민사회의 믿을 수 있는 인사들이 조사위에 들어가 있어 기대를 완전히 접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용산참사 진상규명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이런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제도를 만드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씨는 “1년간 ‘애걸복걸’했지만 아무도 얘기를 들어주지 않아 망루에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면서 “세입자 이주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강제철거를 금지하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 참사가 나자 여·야 가릴 것 없이 정치권에서 관련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부르짖었는데, 얼마 안 가서 잠잠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18일) 청량리 재개발 4구역 철거민 집회에 갔는데, 용역이 폭력을 행사하고, 한겨울 강제철거가 이뤄지는 등 모든 게 그대로더라.”며 비판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