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비핵화를 제외하고 경협 방안을 논의할 경우 한미동맹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문 대통령과 김 상임위원장이 만나더라도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민감한 사안을 곧바로 논의하기보다는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한 원론적·원칙적인 메시지만 주고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양측의 만남이 이번이 처음이고 북한의 행정수반은 실권 없는 상징적 자리이기 때문이다. 남북이 보다 내밀하고 긴밀한 이야기를 나누려면 실권을 갖춘 인물이 김 상임위원장과 동행해야 한다는 게 외교가의 진단이다. 그런 차원에서 노동당 중앙위원회의 최룡해·최휘·김영철·박광호 부위원장이나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등이 동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청와대 안팎에서 제기된다.
김 상임위원장이 평창올림픽 참석을 위해 오는 8일 방한하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만날지도 관심사다. 양측 간 접촉이 성사된다면 북미 간 갈등 국면이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 여지가 생긴다. 그러나 현재 백악관의 반응은 차갑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무리하게 남북회담을 추진하거나 북미 간 대화를 주선하다가는 한미동맹 균열로 이어질 수 있다. 문 대통령이 김 상임위원장으로부터 ‘평양 초청장’을 받더라도 북핵 폐기나 최소한 북핵 동결 및 미사일 개발 중단 합의에 대한 원칙을 못 박고 대화 여부를 타진해야 한다는 의미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