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융시장 충격 줄일 방파제 준비돼 있나

6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38.44포인트 떨어진 2,453.31로 마감했다. 한때 80포인트 이상 추락하기도 했다. 전날 4% 넘게 하락한 코스닥지수는 이날 0.05포인트 하락에 그쳤지만 장중 5% 이상 급락했다. 외환·채권시장도 크게 출렁이는 등 금융시장 전체가 요동쳤다. 충격의 진원지는 미국이다. 5일 뉴욕증시는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에 다우·나스닥·스탠더드앤푸어스 등 주요 지수가 모두 폭락했다.


물론 미국 시장의 영향을 우리만 받은 것은 아니다. 일본·중국증시 역시 동반 급락세고 유럽도 예외가 아니다. 문제는 국내 시장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외국인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금감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해 8월부터 5개월간 7조8,000억원 상당의 국내 채권을 매각했다. 증시에서도 지난달 말을 고비로 팔자로 돌아서 최근 닷새간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쳐 2조9,000억원을 순매도했다. 6일에도 코스피에서 2,812억원어치나 팔아치웠다. 이런 분위기가 일시적이면 안심이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아 우려스럽다. 이미 미 연준은 추가 금리 인상 신호를 보내고 있다. 만약 미국이 한번 더 금리를 올리면 한미 금리는 10년 만에 역전된다. 외국인 자금 이탈에 가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잖아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파격적인 법인세 인하로 기업 투자의 미국행 가능성이 높은 마당에 금융시장에서도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 국내 경제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벌써 에너지·조선·철강업계가 금리역전으로 인한 환율 변동성 확대를 걱정하고 있다고 한다.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한계기업도 금리 상승의 직격탄을 피할 수 없다.

마침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시장 변동성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경제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세워 충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