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에서 대입제도 개선안 마련을 위한 ‘제3차 대입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실제 학종으로 대학 진학을 했거나 학종을 준비하는 학생들과 학부모, 교사들이 나서 학종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전달했다.
학종으로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진학이 예정된 대전성모여고의 박모양은 “학종의 서류평가 기준이 추상적이고 평가기준이 공개되지 않다”며 “공개되지 않은 심사과장 때문에 왜 뽑혔는지, 왜 떨어졌는지 알 수 없어 납득할 수 없는 결과를 받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학종과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다수 교대에 합격한 김모군(강원 북평고)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전적으로 신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생활기록부의 진실성을 확보할 방안들이 마련돼야 학종도 바로 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는 강원도교육청 소속 대학입시지원관을 만나 무료로 입사상담을 받았지만, 다른 학교 친구들은 어떻게 공교육 내에서 학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지 의문이 들었다”며 ‘정보격차’의 문제도 크다고 지적했다.
경기 군포 산본고 2학년 아이를 둔 강모씨는 “아이들을 위한 학종이 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접근성과 투명성’이 중요하다”며 “대학의 학종 선발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사들도 ‘공정성 논란 해소’를 위한 개선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진해고 박재현 교사는 “지원한 학생들의 합격·불합격 이유를 학교 측에 공유하는 대학은 극히 일부”라며 “대학은 적극적으로 평가 결과를 설명해줘야 한다. 설명이 부담스럽다면 서류평가점수라도 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휘문고 우창영 교사는 “학종은 한 학생에 대해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들여야만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다”며 “물리적 한계를 넘어설 정도로 학종이 많아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학종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한 발언도 다수 나왔다. 올해 고3인 오모군(인천 도림고)은 “학종의 실시로 공교육의 질이 확대됐다. 학생들이 주가 되는 참여 수업이 증가하고 다양한 수업방식이 도입돼 공교육의 다양화는 물론 질까지 올라갔다”며 “학종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배명고 2학년 자녀를 둔 박모씨는 “학종 선발된 학생들은 대학, 사회에서 원하는 인재상으로 성장하고 환영받는다”며 “아이도 주도적으로 학교생활을 하고 초·중학교 때보다 더 활동적인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