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원산지 세탁’ 꼼수로 폭리 챙기는 글로벌 명품

글로벌 명품들의 원산지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최근 서울경제신문 보도로 드러난 명품 브랜드들의 ‘원산지 세탁’은 도를 넘는다.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동유럽에서 거의 다 만든 후 이탈리아·프랑스 등에서 마지막 공정을 하고 ‘메이드 인 이탈리아’ ‘메이드 인 프랑스’ 라벨을 다는 꼼수를 부리는 경우가 흔하다. 눈속임도 포기하고 제3국 공장에서 대량으로 찍어내 아예 ‘메이드 인 차이나’로 파는 제품도 부지기수다.

국내 백화점에서 발렌시아가 스니커즈를 산 한 고객이 중국산 라벨을 보고 깜짝 놀라 매장에 문의하니 이전에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었지만 지금은 중국 공장에서 만든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한다. 문제는 이 같은 원산지 변경 사실을 발렌시아가 측이 소비자에게 전혀 알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러고도 이탈리아산과 똑같이 100만원대에 팔고 있으니 고객이 분통을 터뜨릴 수밖에 없다.


이런 수법을 쓰는 명품은 발렌시아가뿐이 아니다. 루이비통·샤넬·에르메스 등 국내에 들어와 있는 다른 명품도 사정이 비슷하다. 루이비통 슈즈의 경우 루마니아 공장에서 90% 완성한 신발을 이탈리아로 보내 밑창을 붙인 뒤 ‘메이드 인 이탈리아’로 둔갑시켜 고가에 팔고 있을 정도다. 무엇보다 루마니아 임금은 이탈리아의 15분의1 수준이지만 가격은 이탈리아산과 동일하다. 루이비통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명품의 횡포는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가 위력을 발휘하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심한 편이다. 온갖 꼼수를 부리는 명품 제조사가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유명 브랜드만 좇는 국내 소비자의 잘못도 작지 않다. 수시로 가격을 올리고 늑장 AS로 무시를 당해도 명품 판매량이 줄기는커녕 되레 늘어나니 ‘봉’ 노릇을 자처하는 꼴이다. 한국 소비자는 글로벌 호갱이라는 비아냥에서 벗어나려면 소비자 인식부터 달라져야 한다.

명품 브랜드를 무조건 맹신할 게 아니라 바가지 상혼에 대한 시정요구 등 적극적인 문제 제기로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 한국에서도 소비자가 왕이라는 사실을 명품 업체들도 깨닫게 될 것이다. 정부는 명품 유통과정에서의 폭리나 담합 등 불공정거래 여부를 꾸준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