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은 노동·임금 분야에서 경영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5대 경제단체 중 하나다. 노사정위원회는 물론 각종 노사 관련 기구에 의무적으로 참석하는 전국 단위의 유일한 사용자단체이기도 하다. 그런 경총이 회장조차 제대로 뽑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것은 국내 산업계가 처한 작금의 현실을 반영한 일이어서 안타깝고 참담할 뿐이다. 이런 와중에 차기 회장으로 내정된 인사는 한때 정치권에 몸을 담았다는 이유로 정부의 개혁 기조에 맞춘 ‘코드 인사’라는 논란에 휩싸여 있다. 경총은 새 정부 들어 일자리 정책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노동현안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면서 정권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얘기가 나오는 상황이다. 회원사들이 차기 회장의 선출 통보조차 제대로 못 받았다며 대놓고 반기를 든 것도 이런 의구심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기업인들이 저마다 경제단체 회장직을 고사하는 바람에 인물난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은 누가 봐도 정상이 아니다.
그러잖아도 정부의 기업 때리기가 도를 넘는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제단체들은 친노동 드라이브에 경영계의 입장을 대변하지 못한 채 정부의 눈치만 보고 있다. 행여 경총 수장마저 정권의 입맛에 맞는 인사가 들어서 경영계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한다면 노사 상생은커녕 기업의 기를 꺾는 역효과만 낳을 뿐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산적한 노동현안을 해결하자면 어느 일방의 세를 불리기에 앞서 노사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