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정의용 '대북 공동특사' 전망...장관급 인사 2명은 이례적

이르면 5일 방북…文대통령 친서 전달
서훈 국정원장, 대북전략통으로 꼽혀
정의용, 백악관 안보라인과 소통 역할

대북특사로 유력한 서훈 국가정보원장(오른쪽)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연합뉴스
청와대가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이번주 초 대북특사로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다. 장관급 인사 두 명이 대북 공동특사로 가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청와대는 이르면 오늘 중으로 특사단 명단과 시기를 발표할 예정이다. 서 원장과 정 실장이 공동특사를 맡을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포함해 총 5~6명이 특사단으로 파견될 전망이다. 특사단은 이르면 5일 방북해 1박 2일간 평양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장관급 인사를 두 명이나 보내는 것은 이번 특사단을 통해 원활한 대북 협상과 북미대화를 이끌겠다는 의지를 방증한다.

실제로 서 원장은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당시 대북 협상에 깊숙이 관여한 대북전략통으로 꼽힌다. 특히 서 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긴밀한 소통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정 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 안보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다. 정 실장은 대북 협상 결과를 백악관과 공유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북 특사의 임무는 북한이 비핵화를 전제로 하는 북미대화에 나서고 이를 토대로 남북관계에 개선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은 남북정상회담보다는 북미대화가 먼저”라며 “문 대통령도 정상회담을 위한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얘기한 만큼 그 여건을 만드는 가장 중요한 게 북미대화이고 거기에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대북특사 방북 직후 정 실장은 미국을 방문해 방북 결과를 설명하고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한 대북공조 방향을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

/허세민기자 sem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