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한국의 산학협력은 미래 기술 개발보다는 기업이 주문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 하청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교육부의 산학협력 지원 예산은 지난 2012년 1,786억원 수준에서 지난해에는 3,271억원으로 크게 늘었지만 대다수 대학이 기업과의 협업 확대 대신 사업 증빙자료인 논문 생산에만 열을 올리면서 오히려 지원금이 산학협력에 독이 됐다는 평가가 많다. 이민화 KAIST 교수는 “다양한 학문에 걸쳐 깊이 있는 연구가 가능한 대학의 강점과 현장의 문제와 치열한 시장의 속성을 이해하는 기업의 강점을 바탕으로 산학협력이 설계됐을 때만이 지역·산업·글로벌을 연계하는 개방 혁신 허브로서 대학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런 맥락의 연장선에서 산학협력의 궁극적 지향점은 산학 일체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양한 학과에서 전문화된 연구진을 보유한 대학이 학제 간 융합을 통해 강화된 역량을 기업에 제공하고 기업과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미래 기술 수요에 대응하는 동시에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공동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NCSU)는 대표적인 성공 모델로 꼽힌다. NCSU는 인공지능·빅데이터·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선도하며 미래 기술 연구의 핵심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산학협력 전용공간인 센테니얼캠퍼스를 통해 구글 등 미국 유수 기업의 연구개발(R&D)센터도 유치했다. 이 교수는 “기업의 실무진이 대학에서 강의하는 정도로는 산학협력의 실효성을 높일 수 없다”며 “기업과 대학이 밀착해 기술 수요에 즉각 반응하는 프로젝트 기반 교육(PBL)으로 전환돼야만 ‘협력하는 괴짜’들을 양성하는 플랫폼으로서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은영기자 supia927@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