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클린템플턴 품고...'액티브 강자' 굳히는 삼성운용

자회사 '액티브운용'과 합병
상반기 내 조인트 벤처 설립
국내외 상품 라인업 확대 박차
글로벌 운용사 잇달아 인수
ETF 강화 미래에셋과 '대조'


삼성자산운용이 자회사 삼성액티브자산운용과 합병하는 형태로 프랭클린템플턴을 품었다. 종목이나 섹터(업종·테마)에 투자하는 액티브 펀드에 강한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또 다른 액티브 강자인 템플턴과 손잡고 글로벌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인 ‘글로벌 X’를 인수했던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다른 행보다. 시장에서는 국내 대형 운용사들이 몸집을 키우면서 운용 전략에도 변화를 주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약한 고리로 여겨지는 부분에 있어 과감한 인수합병(M&A) 전략을 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14일 이사회를 열고 프랭클린템플턴투자신탁운용을 합병해 ‘삼성-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가칭)’을 설립하기로 했다. 지난해 1월 설립된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의 100% 자회사로 국내 액티브 주식운용 전문회사다. 프랭클린템플턴캐피털홀딩스의 모회사인 프랭클린템플턴인베스트먼트는 글로벌 종합운용사로 특히 액티브 운용역량에서 뛰어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상반기 중으로 금융당국의 인가를 취득해 조인트벤처(JV) 설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번 합병으로 ‘액티브 펀드’ 분야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삼성의 그로스 대형주·중소형 운용전략에 템플턴의 가치 대형주 전략을 더해 국내 액티브 펀드의 상품 라인업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프랭클린템플턴의 다양한 글로벌 투자상품도 국내 고객의 투자 니즈에 맞춰 적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글로벌 액티브 운용 역량과 리서치 능력을 활용해 기관투자가 등에게 자문 등 차별화된 글로벌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합병의 강점으로 꼽힌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의 관리자산은 현재 약 6조원 수준이다. 이번 합병으로 12조원으로 불어나게 된다. 또한 합병 후 증자를 통해 합병회사 지분율을 50대50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삼성액티브자산운용 관계자는“이번 합병은 삼성액티브자산운용과 프랭클린템플턴 양사의 강점을 극대화해 국내 투자자에게 최고의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앞으로 상품·운용전략·투자자문 등에 있어서 월드베스트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의 이 같은 전략은 최근 글로벌 ETF 운용사 인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비교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11년 캐나다 ETF 운용사 호라이즌과 호주 베타셰어즈를 인수한 데 이어 최근 미국 뉴욕 ETF 운용사 글로벌X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X 인수를 통해 전 세계 ETF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 선진금융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전 세계 글로벌 ETF 네트워크를 견고히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글로벌X 인수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순자산은 300억달러를 넘어서게 됐다. 전 세계 ETF 부문 세계 18위 수준이다. 또 다양한 테마형 ETF 상품을 보유하게 된 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전략 중 하나다. 글로벌X의 52개 ETF 상품 중에는 4차 산업혁명 관련 ETF 등이 눈에 띈다. 로봇과 인공지능(AI) 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BOTZ(Robotics&Artificial Intelligence)’ ETF, 리튬 채굴·정제 관련 기업과 배터리 생산 기업까지 투자할 수 있는 ‘리튬&배터리 테크’ ETF 등이 대표적이다.

시장에서는 지난해 주춤하던 액티브 펀드가 최근 중소형주 펀드를 중심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는 상황에서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의 다른 전략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전히 ETF를 중심으로 한 인덱스 펀드의 성장세가 이어지겠지만 올해는 액티브 펀드가 상대적으로 더 주목받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오온수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경기 회복으로 업종별 순환매 가능성이 높아졌고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과 실적 기대감으로 중소형주 강세 가능성이 커졌다”며 “액티브 전략이 인덱스 대비 우위에 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 1월까지 힘을 못쓰던 액티브 펀드는 시장이 중소형주 중심으로 돌아서며 오랜만에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1개월 기준 인덱스 펀드에서 3,027억원이 빠져나가는 동안 액티브펀드에는 188억원이 유입됐다. 또 수익률도 1개월 기준 3.08%, 6개월 기준 6.74%로 회복됐다.

오 연구원은 다만 “인덱스 펀드의 대표인 ETF 순자산은 이제 38조원대로 성장해 전체 시가총액에서 2.3% 정도를 차지하지만 패시브 펀드가 발달한 미국(11%)에 비하면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높다”고 덧붙였다. /서지혜·권용민기자 wis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