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세주? 분란꾼? 中 자본의 두 얼굴

티노스 인수한 한국테크놀로지
M&A경쟁자 스카이워스와 협력
200억 유치 유동성 숨통 틔우고
中 네트워크 활용 시장도 넓혀
로봇제조사로 넘어간 삼부토건
"자금성격 불투명" 분쟁 이어져


중국 자본의 국내 중소기업의 운명을 뒤바꿔 놓고 있다. 위안화 자본이 유입되며 유동성 위기 해소하는 백기사가 되기도 하지만 화학적 결합 실패로 기업 경영 자체를 위태로운 상황으로 몰기도 한다. 특히 중국 자본의 실체를 알 수 없는데다 투자 이후 의사결정이 자주 뒤바뀌면서 위안화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전장 부품 제조사인 티노스는 중국 기업의 M&A가 실패한 이후에도 자본 투자를 이끌어내며 한중 합작 투자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된다.

티노스는 현대자동차의 중국 법인인 북경현대의 1차 납품사로 자동차 계기판을 디지털화한 ‘디지털 클러스터’를 주력으로 한다. 2015년까지만 해도 매출 1,000억원을 달성했고 2016년에는 2차 납품사에서 1차 납품사로 승격했으나 그 때부터 현대차의 중국 매출이 급감하며 티노스도 자금난을 겪었다.


1,000만원 대 수준의 중저가 차량까지 전기차가 대중화한 중국에서는 벤츠 등 고급 세단에만 장착하던 값비싼 디지털 클러스터 대신 티노스의 중저가 디지털 클러스터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대기업인 스카이워스가 티노스 인수를 추진했지만 티노스 측은 기술 유출을 우려해 삼부토건(001470)을 인수한 이후 반년 넘게 노조와 분쟁을 벌이고 있다. 당시 삼부토건은 경영 악화로 기업 가치가 떨어지면서 디에스티 로봇 만큼 높은 가격을 써낸 후보가 없었다. 삼부토건 내부에서는 중국에서 휴대폰 유통으로 성장했고 로봇 제조에 주력했던 이들이 건설사를 인수하는 자체에 의문을 제기했다.

현재는 삼부토건 노조가 한국인 회장과 고문을 사칭하는 인사들이 회사자금을 불법 유출했다며 이들을 배임과 횡령 등으로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노조는 국내 기업 사냥꾼이 중국계 자본을 등에 업고 삼부토건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삼부토건의 유보자금 1,000억원을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이면계약을 했다고 주장했다. 중국계 자본이 기업을 법정관리에서 구해냈지만 정상적인 경영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갈등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한중 간 투자유치 활동을 했던 전 중국기업 임원은 “사드 등 정치적인 상황이 변하면서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한순간에 외면을 받았다”면서 “중국 자본을 유치하려는 한국기업은 중국 내 권력 변화가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의 한국 직접 투자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3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인 중국의 한국직접투자는 2017년 처음 전년보다 60.5%(신고기준)줄어든 8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산업부는 2016년 이후 강화된 외환송금 규제, 지난해 8월과 12월에 해외 직접투자를 제한하는 지침을 내리면서 줄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도소매 서비스업과 문화·오락 업종은 증가했으며 4차산업혁명과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분야는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실제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중에는 중국 자본이 아니면 경영권 인수나 투자 후보를 찾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