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의학 권위자들 22~24일 서울 집결

코엑스 컨벤션센터서
아시아수면학회 국제학술대회

미국·유럽·아시아의 수면의학 권위자들이 22~24일 서울로 모인다.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2차 아시아수면학회 국제학술대회(ASSM2018)에서 강연·주제발표를 하기 위해서다.

우선 파킨슨병·치매와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렘수면행동장애의 대가인 윙윤궉 홍콩중문대 교수,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 수면의학의 권위자인 미국 노스웨스턴대학병원의 필리스 지 교수와 지니 더피 하버드 의대 교수, 수면부족과 인지기능 분야의 석학인 마이클 치 싱가포르의대 교수, 불면증 권위자인 일본 이노우에 유이치 도쿄의대 교수, 중국을 대표하는 수면의학자인 한팡 베이징대 교수 등 8명이 기조강연을 한다.


27개 심포지엄, 8개 교육강좌도 이어진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불면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주간졸음증은 물론 정밀·맞춤의학 도입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생체리듬연구, 급속한 인구고령화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렘수면행동장애, 전 연령에서 흔한 하지불안증후군, 소아수면장애, 아시아 인종·문화에 독특한 수면장애의 특징 등을 다룬다.


ASSM2018은 홍승봉(사진)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와 이정희 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공동조직위원장을, 윤인영 대한수면학회장(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 학술위원장을 맡았다. 총 참석인원은 1,000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홍승봉 조직위원장는 ASSM2018 기간 아시아수면학회장에 취임한다. 홍 교수는 지난 2015년 서울에서 한국·중국·인도·일본·홍콩·베트남·태국·필리핀·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등 아시아 16개국 대표들이 모여 학회를 창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학회는 공동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연구 등을 통해 아시아 지역의 수면의학을 발전시키고 세계·미국·유럽 수면학회에 이어 4대 국제수면학회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학회 참여국의 인구는 35억명을 웃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