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면서 잠자리 빨리들면 '치매 진행중' 알리는 경고등?

김기웅 분당서울대 교수팀 분서
안 당겨지면 치매위험 40% 낮아
30분 넘겨 잠 들면 1.4배 위험 ↑


나이가 들면서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은 치매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밤11~12시께 잠이 드는 습관을 유지(취침·기상 중간점이 새벽3시 이후)하며 6~8시간 정도 자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40%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잠 드는 데 30분 이상 걸리거나 하루 8시간 넘게 자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각각 1.4배, 1.7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김기웅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국립중앙치매센터장)팀은 60세 이상 연령층 2,893명을 4년간 추적 관찰하며 가벼운 인지장애나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수면 특성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 결과 누워서 잠들기까지 30분 이상 걸리거나 하루 8시간 넘게 자는 60세 이상 연령층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각각 40%, 70% 높았다. 최근 4년간 이런 수면 패턴이 생겼거나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 사람은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2배나 됐다.

또 가벼운 인지장애 노인 가운데 잠들 때까지 30분 이상 걸리거나 최근 4년 새 이 시간이 길어진 사람은 4년 뒤 인지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각각 30%, 40% 낮아졌다.

수면 습관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낮은 쪽으로 변했어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은 줄지 않았다. 김기웅 교수는 “이는 수면 습관이 인지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이미 진행되고 있는 인지저하를 나타내주는 표지자 역할을 한다는 뜻”이라며 “나이가 들면서 일찍 자는 사람이 많은데 치매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가 진행되고 있다는 조기 신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이가 들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기능에 손상이 와 낮 동안 쌓인 수면 욕구를 이겨내지 못해 수면주기가 앞당겨진다. 따라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습관을 유지할 경우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뇌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 확률이 낮다.

김 교수는 “신경심리검사에서 같은 나이·학력·성별의 사람보다 인지기능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벼운 인지장애(경도인지장애) 노인은 치매 위험이 10배 정도 높은 고위험군이지만 치매에 걸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면서 “수면 패턴의 변화는 느려진 걸음걸이 등과 함께 치매 예측력의 정확도를 높여줄 주요 후보 지표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