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메신저] PEF협회 간사체제 1년 순항..."힘있는 수장 있어야" 목소리도

전문사모펀드 등 시장 커지는데
PEF 관련 정책 정비 안돼
"생태계 확장 위해 회장 필요"

사모투자펀드(PEF) 운영사 협의회가 당초 우려와 달리 간사 체제로 순항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사모펀드 등 관련 시장이 커지는 만큼 생태계 확장을 위해 힘 있는 회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PEF 협의회는 이달 말이면 3대 회장 없이 간사 체제로 운영된 지 1년이 된다. PEF 협의회는 지난해 4월 말 제2대 회장이었던 이재우 보고펀드 대표의 임기 종료를 전후해 신임 회장 선임을 추진했지만 마땅한 인물을 선정하지 못했다. 누구 하나 선뜻 나서길 부담스러워 했기 때문이다. 60여곳의 회원사들은 사모펀드 특성상 프라이빗한 자금을 운용하는데, 협의회 회장으로 공식 석상에 나서는 것을 꺼렸다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대표성이 없는 인물이나 외부 인사를 앉힐 수도 없었다. 낙하산의 통로로 이용되는 것을 회원사들이 반대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협의회는 김영호 IMM PE 부사장과 김수민 유니슨캐피탈 대표 두 명의 간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초반에는 선장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지만 현재까진 별 탈 없이 돌아가고 있다. PEF 협의회의 분위기도 나쁘지 않다. 분기에 한번 모여 진행하는 현안 세미나는 물론 PEF 운영 업계 발전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가고 있다. 한 회원사 관계자는 “향후 1년 정도는 간사 체제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PEF 업계의 확장을 위해서는 힘 있는 회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특히 최종구 금융위원장 부임 이후 가계부채나 대우조선해양 사태 등에 우선순위가 매겨지면서 PEF 관련 정책 등은 공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외에 한국형 헤지펀드로 불리는 전문사모운용사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지만 아직 제도는 제대로 정비되지 못했다는 평을 받는다. 전문사모운용사 설립 최소 자본금 요건을 2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낮추는 방안도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또 전문사모의 투자자들로는 보통 연기금이나 공제회 등 대형 기관투자자(LP)들이 참여한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뮤추얼 펀드가 하듯 투자자들에게 보고서를 만들어 내야 한다. 사모펀드의 투자자 수 제한(49인 이하), 해외와 달리 사모펀드를 벤처캐피털·헤지펀드·PEF 등으로 세분화해 규제하고 있다.

한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김기식 신임 금감원장이 PEF에 불필요한 규제가 없는지 살피겠다고 밝히는 등 업계 생태계 확장을 위해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상황인 점에서 목소리를 내는 힘 있는 PEF 협의회장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