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해외주식투자, 종목수익률+환율 변화율이 '최종수익률'

해외주식투자 체크 포인트


무역전쟁 우려가 커지면서 환율이 널뛰고 미국 등 주요국가의 주가가 떨어져도 증권사들은 그래도 해외주식 투자를 추천한다. 대형 증권사 입장에서 고객 확대를 위한 신규 먹거리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투자를 적극 권장하는 첫 번째 이유일 테다. 하지만 증권사 욕심을 감내하더라도 해외주식 투자는 투자자 입장에선 분산투자 차원에서 고민할 만하다. 투자 초보를 벗어났다면 국내 1위 기업만 투자할 게 아니라 글로벌 1위로 투자 대상을 넓히기 위한 공부도 필요하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초보 투자자도 손쉽게 해외주식 투자가 가능하다고 부추기지만 국내와 해외는 제도가 다르고 걸림돌도 있어 따져볼 게 많다.

일단 해외주식거래가 가능한 증권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최근에는 대형 증권사 대부분에서 비대면계좌개설이 가능하다. 계좌를 개설한 뒤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설치하면 여기에서 온라인 환전이 가능하다. 다만 환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가능하다.

해외 주식은 해당 국가 거래시간 동안만 가능하다. 유럽과 미국주식은 서머타임 시행 시 거래시간이 앞당겨지고, 중국·홍콩·일본주식은 점심에 한 시간 휴장한다.

실전에 들어가기 전 본격적으로 체크할 첫 번째 포인트는 환율위험이다. 해외주식은 종목수익률에 환율 변화율을 더한 값이 최종 수익률이다. 예를 들어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미국 주식에 투자했는데 투자기간 동안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그만큼 수익률에서 빠진다.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이 내리는 추세여서 기존 투자자는 투자수익률이 대체로 떨어지고 있다.

250만원 초과 수익에 22% 과세

배당소득은 해당 국가 세율 부과

거래·환전 수수료도 계산해야




미래에셋대우(006800) 등 일부 증권사에서는 환전하지 않고 그대로 투자할 수 있게 하므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온라인 거래의 경우도 국내는 수수료가 사실상 0원이지만 해외는 대부분 0.25~0.5% 수준을 부과하므로 국내처럼 단타 매매로는 수익을 낼 수 없다. 수수료는 소액 주문 시에도 일정 금액 이상을 부과하므로 너무 소액을 거래하면 수수료 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커질 수 있다.

그 밖에 해외투자정보는 증권사 MTS 이외 블룸버그 애플리케이션이나 스톡마켓·인베스팅닷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선물시세나 지수 변동을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개별 종목에 대한 실시간 시세는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