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친은 '뇌파'도 비슷하네

UCLA, 졸업생 42명 실험
특정 상황서 혈류패턴 일치

영화 ‘친구’ 포스터

친한 친구는 뇌파까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LA)의 인지과학자 캐럴린 파킨슨 박사 연구팀은 실험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짧은 비디오를 보여준 결과 친한 친구들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고 최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특정 비디오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산만해지는 정도가 비슷하고 보상심리가 절정에 달하거나 따분해하는 분야가 똑같았다는 것이다. 신경반응 패턴이 친구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확연히 달라 뇌파만 갖고도 친분 정도를 예측할 수 있을 정도였다.

연구팀은 한 대학 졸업생 279명 전원을 대상으로 먼저 설문조사를 해 친분을 분석했다. 음식을 같이 먹었는지, 영화를 보러 같이 가봤는지, 서로 집에 초대했는지 등에 대한 답변을 받아 친분 정도를 구분했다.


이 가운데 뇌파 검사에 동의한 42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길이의 비디오를 보여주면서 기능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의 혈류를 측정했다. 실험 상황은 다른 사람이 리모컨으로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는 것을 보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실험 대상의 관심사와 일상을 측정하는 역할을 했다.

그 결과 신경활동을 나타내는 혈류 패턴과 친분 정도에 강한 일치성이 발견됐으며 종교나 인종, 소득 수준 등 신경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조정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친구 사이에는 관심사나 주변사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유사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면서 “연구 결과는 당초 생각했던 것보다 설득력이 높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의 보상행동 처리에 핵이 되는 전뇌 기저부의 아쿰벤스 핵과 외부환경에 어느 정도 주의를 기울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상두정소엽에서 친구 사이의 혈류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밝혀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컴퓨터 알고리즘을 마련해 신경반응 패턴의 유사성만 갖고도 두 사람이 어느 정도 친분을 맺고 있는지를 우연 이상의 확률로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해 비슷한 뇌파를 가진 학생들이 나중에 어느 정도 친분을 형성하는지도 연구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