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2건, 34만3,221건, 833만1,457회’
지난 17일 하루 동안 네이버에 올라온 기사, 댓글, 공감 및 비공감 클릭 수를 차례대로 나열한 숫자다. 주요 언론사 홈페이지에 하루 기껏해야 수백 개의 기사가 노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네이버가 보유한 기사량이 얼마나 엄청난지를 단박에 알 수 있는 지표다. 특히 이 같은 기사는 하루 수십만 건의 댓글과 1,000만건에 육박하는 공감 및 비공감 표현으로 확대·재생산된다. 구글 등 해외 주요 포털들과 달리 국내에서는 네이버라는 ‘거인의 등’에 올라타지 않으면 온라인상에서 기사가 확산되기 힘든 구조인 셈이다.
문제는 이 같은 기사배열 권한을 네이버가 전적으로 갖고 있다는 점이다. 네이버가 기사를 생산하지는 않지만 사실상 언론사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네이버 탄생 초창기인 2000년 초부터 20년 가까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이에 따라 파워블로거 ‘드루킹’의 댓글조작 파문 이후 정치권에서도 네이버의 막강한 권한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포털이라는 정보전달 플랫폼이 사회 권력화되면서 사실상 왜곡된 저널리즘으로 변질되고 있는 현상에 일정 정도의 메스가 필요하다는 지적 때문이다.
18일 포털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접속 시 가장 먼저 노출되는 네이버 메인 페이지와 네이버 주요 뉴스 등은 네이버 직원들이 배열하고 있다. 이달 5일부터 뉴스 홈과 각 섹션 홈의 머리말 기사 등은 기계적 알고리즘을 적용해 배열 중이지만 핵심 칼자루는 여전히 사람(네이버)이 쥐고 있는 셈이다.
네이버에 이 같은 기사배치 권한은 ‘양날의 칼’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이해진 창업자가 뉴스 편집조작 의혹과 관련해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하는 등 경영의 발목을 잡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 선점에 힘써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정치 관련 이슈에 휘둘릴 가능성도 크다. 네이버 또한 뉴스 콘텐츠가 매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은 10%가 채 안 된다는 입장이지만 이용자들을 불러들이는 일종의 ‘미끼 상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사 유통 및 배치 권한을 놓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정보유통 허브로 시작한 포털이 사실상 언론 권력화되면서 정치권에서는 네이버의 공정성 논란을 막기 위한 규제강화 방안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가짜뉴스’를 24시간 내 삭제하는 등 포털에 의무를 부과하는 내용의 ‘가짜정보 유통 방지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발의했다. 자유한국당에서도 박성중 의원이 포털의 인링크 뉴스 공급을 원천 차단하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내놓았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뉴스를 포털 내에서 보는 방식(인링크) 대신 해당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아웃링크)으로 포털 사이트가 개편된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은 일명 ‘포털언론분리법(전기통신사업법·방송통신발전기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해 포털 사업자가 기사배열 원칙 등을 공개하고 검색 결과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실제로 네이버가 기사배치 권한을 휘두르면서 우리 국민 절반 이상은 ‘네이버=언론’으로 간주하고 있다. 한국언론재단의 ‘2017년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포털을 언론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54.2%로 ‘그렇지 않다(27.7%)’고 응답한 비율보다 2배나 높았다. 김인성 전 한양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네이버가 뉴스 콘텐츠를 유통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부가 수익이 엄청나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 같은 권한을 쉽게 놓지 못할 것”이라며 “다만 구글은 검색 결과 노출된 기사를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시켜주고 ‘애드센스’와 같은 광고 모델로 링크된 사이트와 공동 수익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네이버의 고민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양철민·권경원기자 chopi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