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본 남북정상회담] 손 맞잡은 남북…미래 향한 큰걸음 내딛다

27일 오전9시30분 판문점 군사분계선(MDL) 앞.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의 상징인 이곳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마주 섰다. 문 대통령과 뜨거운 악수를 나눈 김 위원장은 높이 5㎝, 폭 50㎝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군사분계선 너머로 발을 내디뎠다. 한국전쟁 이후 군사분계선을 넘은 최초의 북한 최고지도자로 기록되는 순간이었다. “김 위원장은 남측으로 오시는데 나는 언제쯤 넘어갈 수 있겠느냐”는 문 대통령의 발언에 김 위원장은 “그럼 지금 넘어가볼까요”라며 문 대통령의 손을 잡고 이끌었다. 김 위원장의 돌발 제안으로 10초가량 깜짝 월경한 문 대통령은 다시 김 위원장의 손을 맞잡고 남으로 넘어왔다. 남과 북의 지도자가 손을 잡고 분단의 선을 넘기까지는 65년이 걸렸다. 분단의 고통이 짓누르던 판문점은 항구적 비핵화와 평화로 나아가는 여정의 출발점이 됐다. 두 정상의 만남부터 11년 만에 성사된 정상회담까지 역사적 순간들을 생생한 화보로 모아봤다.

군사분계선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군사분계선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국군 의장대 사열받는 두 정상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정상회담에 앞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국군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文, 김여정과 재회
27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소개로 북측수행원이자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악수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성공기원하는 시민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판문점으로 떠나기에 앞서 정상회담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환송 나온 시민들과 악수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외신기자도 환호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일산 킨텍스 메인프레스센터에서 외신기자들이 군사분계선에서 악수하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을 생중계로 지켜보며 박수를 치고 있다. /이호재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공동 식수를 마친 후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있는 ‘도보다리’까지 산책을 하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27일 밤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만찬과 공연 관람을 끝으로 남북정상회담을 마치고 떠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를 배웅하고 있다.2018.04.27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