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뉴스표출 공정·투명성 담보 안되면 '공염불'

네이버 '구글식 아웃링크' 전환 검토한다는데...
구글 뉴스 표출 알고리즘은
대형사에 유리해 편향성 논란
가짜뉴스 대책은 기존대로 유지
언론사·포털 확산방지 공조해야



네이버가 뉴스를 언론사 사이트로 직접 연결해 보여주는 ‘구글식 아웃링크’ 도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기사 표출 알고리즘(전산 논리 체계)이 일부 언론사에만 유리한 구조로만 짜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뉴스 서비스를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에 앞서 기사 표출 구조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는 논의부터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네이버는 2일 제휴 언론사 124곳을 대상으로 한 아웃링크 방식 의견 수렴을 마감했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달 27일 각 언론사에 공문을 보내 아웃링크 전환 참여 또는 ‘인링크(포털 내부 기사 표출)’ 방식 유지에 관한 뜻을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일단 다수 언론사의 의견이 어느 방향인지부터 확인부터 할 예정”이라면서 “(제도 변경) 결정 시기나 절차 등은 전혀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개별 언론사의 희망에 따라 아웃링크 또는 인링크 방식을 결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수가 원하는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방향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만약 네이버가 언론사에 발송한 공문에 표현한 것처럼 ‘구글식 아웃링크’를 도입하면 댓글이 하나의 플랫폼(기반 서비스)에 몰리는 문제가 해결돼 여론조작 가능성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뉴스 표출의 공정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구글은 네이버와 달리 PC 웹 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의 대문 화면에서 기사를 내보이지 않지만 ‘뉴스’ 메뉴에 들어가면 시간대에 따른 ‘주요 뉴스’를 골라 표출한다.


구글이 겉으로 밝힌 뉴스 표출 기준은 기사의 참신성·다양성·독창성 등 원론적인 내용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다르다. 구글의 뉴스 표출 알고리즘 관련 특허 문서에 따르면 언론사의 규모를 비롯한 10개 이상의 평가 잣대가 ‘뉴스 랭킹’이라는 이름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언론사의 기사 생산량과 기자 수, 전 세계 지국 수, 뉴스룸(편집국 또는 보도국)의 크기 등 매체 영향력을 계량해 적용하는 것이 포함돼 있다. 이는 설립된 지 오래된 대형 언론사의 기사가 구글 뉴스 서비스 상단에 우선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기사의 표출 시간(속보성)과 길이, 고급 어휘 사용 횟수, 실명 취재 기관 등도 기준에 들어간다.

네이버는 구글과 다르게 뉴스 서비스 상단에 나타나는 기사 일부를 사람이 직접 편집(모바일 기준)하는 구조다. 앞으로는 사람의 편집을 최소화해 구글처럼 알고리즘에 편집을 맡긴다는 계획이지만 지난 1월 ‘뉴스 배열 공론화포럼’이 출범한 뒤 아직 구체적인 성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오세욱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구글의 뉴스 표출 방식 기준은 언론사의 외형적 요인만 반영하고 있어 객관적이라고 하기 어렵다”면서 “네이버 등 국내 포털 사이트 역시 아웃링크 형태로 전환하고 편집 방식을 손본다고 해도 알고리즘의 공정성 시비를 해결하지 않으면 편향성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고 짚었다.

아울러 완전한 아웃링크 방식으로 전환하더라도 ‘가짜뉴스’ 확산 방지를 위한 활동은 언론사와 네이버 등 포털이 공동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 네이버나 다음(카카오(035720))처럼 별도의 검증 기구(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두지 않은 구글에서는 비교적 가짜뉴스가 빠르게 전파되는 성향이 있다. 등록된 공식 언론사가 아니더라도 검색어에 걸리면 해당 웹 페이지를 표출해주기 때문이다.

오 연구위원은 “국내 포털의 뉴스제휴평가위는 최소한 언론사가 아닌 곳의 콘텐츠를 ‘뉴스’로 표출하지 않는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기계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가짜뉴스의 구분 없이 보여주는 구글과는 다른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지민구기자 mingu@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