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K뮤지컬도 한류를 노래할거야

'헤드윅' 한국버전 대만무대 오르고
창작뮤지컬 '팬레터'도 첫 해외진출
영화흥행에 '신과함께' 러브콜 쇄도
'프랑켄슈타인'·'벤허' 中자본 유치
중화권 넘어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

한국 뮤지컬의 해외 무대 진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진출 지역도 대만과 중국을 넘어 동남아사이와 일본까지 영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K팝과 K드라마에 이어 이젠 K뮤지컬의 글로벌 시장에서 한류 바람을 일으킬 차례라는 기대 또한 커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헤드윅’ 한국 버전과 창작 뮤지컬 ‘팬레터’가 오는 7월과 8월 각각 대만 국립 공연예술센터 산하 1호 국립극장 내셔널 타이중 시어터 무대에 오른다. 서울예술단은 동명의 웹툰을 바탕으로 제작한 ‘신과 함께’의 대만과 중국을 비롯한 중화권과 일본 진출을 타진 중이다. 뉴컨텐츠컴퍼니의 창작 뮤지컬 ‘프랑켄슈타인’과 ‘벤허’에는 중국 제작사가 각각 100만 달러를 투자해 중국은 물론 대만, 홍콩, 마카오 투어 가능성이 높다.

브로드웨이 원작의 라이선스 작품 ‘헤드윅’. /사진제공=쇼노트

창작뮤지컬 ‘팬레터’. /사진제공=라이브

신과함께

벤허

프랑켄슈타인

◇대만시장 노크하는 K뮤지컬= 뮤지컬 ‘헤드윅’은 브로드웨이 원작의 라이선스 작품으로 7월 대만 무대에는 한국 버전이 올라간다. 라이선스 작품임에도 한국 버전이 해외 무대에 오르는 것은 이례적인 것으로, 한국 뮤지컬의 우수성을 알리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이번 공연에서 헤드윅 역에는 배우 오만석과 마이클 리가, 이츠학 역에 배우 전혜선 제이민이 각각 캐스팅됐다.


‘팬레터’는 대만 무대에 처음으로 오르는 창작 뮤지컬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작품은 1930년대 경성에서 팬레터를 계기로 문인들 세계에 들어가게 된 한 작가 지망생의 성장을 그린 이야기로 당대 최고의 문인인 김유정과 이상 등의 일화를 모티브로 당시 문인들의 예술과 사랑을 그렸다. 김해진 역에는 김종구, 이규형, 정세훈 역에는 문태유, 히카루 역에는 소정화, 김히어라, 이윤 역에는 박정표 등이 각각 출연한다. 이 작품에는 영화 ‘중경삼림’ ‘화양연화’ ‘해피 투게더’ 등으로 국내에서도 인기를 끌었던 왕가위 감독의 음악회사인 블락뮤직이 투자하기도 해 중화권에서의 관심이 확인되기도 했다.

대만 진출에 대한 뮤지컬 업계의 기대감은 상당하다. 대만은 동남아시아에서도 구매력이 높기 때문이다.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진흥실 김신아 실장은 “중국이 가장 커다란 시장이지만 대만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공연 수요와 관심이 많은 곳”이라며 “그런 이유로 국내 주요 뮤지컬 기획사들이 이 시장을 눈여겨봐 왔다”고 말했다.

◇K뮤지컬, 성숙기에 들어서다 = 공연계의 한 관계자는 “초기 해외진출작인 ‘명성왕후’ 등이 한국에도 뮤지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면, 성숙기에 접어든 현재의 해외 진출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K뮤지컬의 파이를 키운다는 의미를 지닌다”며 “이는 K뮤지컬의 위상이 보다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뮤지컬 ‘신과함께’와 ‘프랑켄슈타인’ ‘벤허’ 등의 전방위 해외진출이 이를 방증한다. 세상의 모든 망자가 저승 행 열차를 타고 이승을 떠나 저승으로 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이 작품은 주호민 작가의 동명의 웹툰이 원작으로, 대만과 홍콩에서 개봉한 영화 ‘신과함께’에 대한 인기에 힘입어 이 지역 관객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창작 뮤지컬 명작으로 꼽히는 ‘프랑켄슈타인’과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을 뮤지컬로 만든 ‘벤허’는 중국 자본을 유치해 대만, 홍콩, 마카오 투어를 준비 중이다. ‘프랑켄슈타인’은 1818년 출간된 메리 셸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신이 되려 했던 인간과 인간을 동경했던 피조물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생명의 본질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고, ‘벤허’는 루 월러스가 1880년 발표한 베스트셀러 소설이 원작으로 유다 벤허라는 한 남성의 삶을 통해 고난과 역경, 사랑과 헌신 등 숭고한 휴먼 스토리를 그리고 있다.

뮤지컬 계에서는 그래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가장 크다. 공연기획 제작사 쇼노트의 한 관계자는 “연간 공연 편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관객 수는 그대로이거나 감소하는 추세고, 점점 제작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할 대안은 중국 등 중화권 시장뿐”이라고 말했다.
/연승기자 yeonvic@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