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상속세 탈루로 기소 가능성...조양호·원태 父子 동반퇴진까지 거론

한진 오너 일가의 의혹·거취는
관세포탈·밀수혐의도 조사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관측

‘반사회적 행위’ ‘국민들의 분노’ ‘반드시 근절’.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해외범죄수익환수합동조사단 설치를 지시하면서 강조했던 말들이다. 역외탈세가 어제오늘 일이 아닌 것을 고려하면 발언 강도가 대단히 세다. 조사단 설치의 트리거(방아쇠)가 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일가의 세금 탈루에 대해 각 사정기관의 압박 수위가 최대치로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해외범죄수익환수조사단과 관련해 “범죄행위는 항상 있지만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사건이 나왔을 때 수사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조 회장의 탈세가 드러난 이번을 기회로 역외 탈세의 뿌리를 뽑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갑질 넘는 범법행위, 사정기관 전방위 압박=서울지방국세청에 따르면 조 회장과 조 회장의 누나 현숙씨, 동생 남호·정호씨 등은 스위스와 프랑스 등 유럽 각국에 있는 고(故) 조중훈 전 한진그룹 회장 소유 부동산과 예금을 상속받았지만 신고를 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미납한 상속세는 가산세까지 더했을 때 최대 1,0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그룹은 고의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상속세만 최대 1,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재산을 물려받으면서 이를 알지 못했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검찰의 생각이다. 여기에 조 회장 부부와 자녀는 관세 포탈과 밀수 혐의를 받고 있고 조 회장 부인인 이명희 일우재단 이사장과 딸 조현민 전 한진칼(180640), 대한항공, 정석기업의 대표이사와 한진정보통신, 한진관광의 사내이사를 맡고 있다. 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갑질 논란이 불거졌을 때 조 회장이 (동반 퇴진을) 결단했어야 했다”며 “해외 소득세 탈루와 밀수 의혹은 일탈 행위를 넘어선 것으로 오너 일가의 일괄 퇴진 말고는 대한항공의 이미지 회복이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 한진그룹 안팎에서는 조 회장 아들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의 퇴진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일정한 모양을 갖춰 퇴진해야 하는데 그 지렛대는 대한항공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한 미국 델타항공이다. 조 사장 사퇴 후 델타항공 경영진 중 한 명이 대한항공으로 넘어와 경영을 맡고 대신 조 사장은 델타항공에서 수년간 경영 수업을 받은 뒤 복귀하는 시나리오다. 조 사장은 아직 40대로 시간적 여유가 있다. 재개 원로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조언들이 나왔고, 조 회장 역시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회장 부자가 동시에 퇴진하면 대한항공 측에서는 우기홍 부사장이 전면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우 부사장은 조 회장, 조 사장과 함께 대한항공의 각자 대표를 맡고 있다.

/안현덕·임진혁·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