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는 성동조선해양이 인력 3분의 2를 감축하는 구조조정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중형조선소와의 경쟁력 격차도 미미한데다 중형 선박 발주가 답보 상태여서 다른 중형조선소에도 위기감이 번지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성동조선은 1,200여명의 현 인력을 400여명 수준으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지난 10일부터 진행한 희망퇴직 신청자를 접수한 가운데 300여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 성동조선은 이르면 다음 달 중 500여명의 인력을 추가 구조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성동조선이 구조조정을 고민하는 건 인건비 부담이 임계치에 달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성동조선 임직원의 1인당 평균 임금은 연 5,000만원 수준이다. 현 인력을 유지한다면 연간 600억원이 인건비로 빠져나간다.
하지만 성동조선은 법정관리를 졸업할 때까지 기존 보유 현금으로 버텨야 한다. 일감은 동난데다 신규 수주도 사실상 막혀 추가 자금 확보도 어렵다. 생사가 불투명한 조선사에 신규 수주에 꼭 필요한 선수금환급보증(RG)을 발급해줄 금융기관을 찾기 어렵기 때문. 그나마 성동조선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말 기준 1,110억원에 불과하다. 이대로라면 2년도 안 돼 회사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잖다.
인수합병(M&A)을 포함한 다양한 회생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중형 조선업계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돌입한 다음부터 M&A 등 다양한 생존책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인수자가 나타나더라도 인력 규모에 부담을 느낄 수 있는 만큼 사전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동조선의 시련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법정관리를 마친 뒤 극적으로 살아남더라도 구조조정이 단행될 경우 덩치가 대폭 쪼그라들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선박에 들어가는 자재를 구매할 때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만큼, 조선사 규모가 줄어들수록 척당 자재 조달 비용이 늘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성동조선의 처지를 바라보는 다른 중형 조선업체들은 착잡한 심정이다. 일감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성동조선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 1·4분기 국내 중형 조선사(한진·STX·성동·대한·SPP·대선·한국야나세·연수·마스텍)의 수주 실적은 10만1,000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에 달했다.
중형 선박 주문이 좀처 풀리지 않고 있는 것이다. 세계 신조선 발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4% 증가했지만 중형 선박 발주량은 130만CGT로 전년 동기대비 4.9% 증가에 그쳤다.
중형 조선업계의 시름을 더 깊게 하는 건 한국 중형 조선사가 점차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발주 물량이 많지 않다면 기술이나 가격 경쟁력에서라도 비교우위를 가져야 그나마 적은 일감을 따낼 수 있다. 하지만 업계는 국내 중견 조선사가 만드는 중형 선박이 중국 업체들의 선종과 겹쳐 경쟁력을 상당 부분 잃었다고 판단한다. 국내 조선사는 선박 품질에서 다소 앞선 것으로 평가받지만 중국 조선사는 저렴한 인건비와 정부 지원을 무기로 품질 열세를 상쇄하고 있다. 중형 조선 업계 관계자는 “선박을 수주해도 본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며 “업황이 예년에 비해 나아지곤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털어놓았다.
/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