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항포구 300곳 현대화 '시동'

■해수부 '어촌 뉴딜 300' 착수
"관광산업 키워 일자리 창출"
5년간 年 3,000억 투입
여객선 접안시설 확충 등
선진국 수준 인프라 구축

어촌 뉴딜 300 사업 조감도

전라남도 목포항 인근에 자리 잡은 달리도(島)에 가기 위해서는 이름 없는 소규모 여객선 선착장을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 선착장의 폭은 6m 남짓. 여객선이 선착장에 들어올 때면 섬으로 나가는 차량과 여객선으로 들어오는 차량이 뒤엉켜 매번 대혼란이 일어난다. 주차시설도 없어 선착장 한켠에 차량까지 주차된 날이면 혼잡도는 극에 달한다. 인명 사고 위험도 크다. 이용객들이 난간도 없는 선착장에 뒤엉킨 차량 사이사이를 지날 때마다 아찔한 상황이 연출된다. 이장식 달리도 달리1구 통장은 “섬에 캠핑장과 둘레길을 만들어 관광객들을 대거 유치하려고 하는데 선착장 여건이 좋지 않다는 관광객들의 민원이 상당해 걱정”이라며 “섬 입구부터 이미지가 좋지 않아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가고 싶은 섬’ 사업에도 두 번이나 떨어졌다”고 하소연했다.

여객선 기항지의 80%가 몰려 있는 전남에만 연안 여객선 이용객이 사상 처음 90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전국 섬·어촌 지역을 찾는 관광객은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달리도처럼 시설이 미비하고 관리가 허술한 전국의 소규모 항포구는 1,294개에 달한다. 소규모 항포구에는 접안시설이나 대합실 자체가 없고 난간 등 기본적인 안전시설조차 구비돼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용객들은 승·하선시 안전사고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해 전국 소규모 항포구 등에서 추락·익수 등 안전사고는 230건이나 발생했고 이 중 32명이 사망했다. 여객선도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이나 약간의 기상악화에도 접안이 곤란한 상황이 빈발한다. 철도(7위)·도로(12위)·공항(13위)·항만(23위) 등 대형 인프라는 세계경제포럼에서도 선진국 수준으로 평가받지만, 소규모 항포구는 여전히 후진국 수준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지금까지 정부는 소규모 항포구에 대한 지원을 외면해왔다. 전국 어항·포구 시설은 그 규모와 개발 주체에 따라 국가 어항(111개), 지방어항(281개), 어촌정주어항(613개), 소규모 항포구로 분류되는데 이 중 소규모 항포구에만 국비가 전혀 투입되지 않는다. 지자체 역시 지역의 현안에 밀려 최소한의 시설 보수밖에 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지난 한 해 소규모 항포구에 투입된 시설 보수비는 평균 3,300만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소규모 항포구보다 규모가 큰 지방어항조차 지방비를 투입하지 못하는 곳이 많은 데 소규모 항포구까지 챙기기에는 지자체의 여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의 안전 관련 민원이 많은 데도 법정 어항이 아니기 때문에 시설 개선에 애를 먹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사정이 달라진다. 소규모 항포구 시설 개선을 통한 어촌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해양수산부가 올해부터 ‘어촌 뉴딜 300사업’에 착수하기 때문이다. 김영춘 해수부 장관이 최대 현안으로 챙기는 어촌 뉴딜 300은 연간 3,000억원 이상을 투입해 2022년까지 전국 300곳의 항·포구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낙후된 어촌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만들자는 취지로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을 벤치마킹했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항포구에는 여객선 접안시설 등이 확충되고 항포구 인근의 배후마을의 특성을 살린 지역 사업도 추진된다.

지난달 국회에서 통과된 추가경정예산안에 ‘기항지 현대화 사업’ 예산(107억원)이 포함되면서 올해 첫발을 뗐다. 목포·군산·통영 등 8곳의 소규모 항포구(국가어항 1곳 포함)부터 시설 개선 작업에 들어간다. 해수부 관계자는 “소규모 항포구 개선 등을 포함한 ‘어촌 뉴딜 300사업은 국민들의 안전측면에서라도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며 “항포구뿐만 아니라 인근 어촌 지역까지 활성화에도 주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