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워치] '툭' 하면 '버럭' 火가 일상이 된 사회...오늘 당신은 몇번 '욱' 하셨나요

무차별 공격 표출 분노조절장애
'재벌 갑질 논란'으로 다시 주목
스트레스·물질주의가 만든 질환
폭언·폭력 그리고 후회 '악순환'
"치료 필요...국가 차원서 관심을"


직장인 강모 과장은 며칠 전에 정신과병원을 처음으로 찾았다. 부서 상사인 장모 부장이 하루에도 몇 번씩 버럭 화를 내고 그때마다 내뱉는 인신공격성 폭언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견디기 힘들 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직장 동료들은 장 부장을 ‘분노조절장애’의 전형이라고 숙덕거린다. 부서 분위기도 좋을 리 없다. 장 부장도 이를 안다. 하지만 ‘내가 좀 다혈질이라서, 이해해줘’라는 말만 되풀이한다. 이 모든 것을 단지 자신의 성격 탓으로만 돌린다.

분노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분노조절장애가 우리 사회의 건강을 좀먹는 불치병으로 확산하고 있다. 과거 화를 꾹꾹 참아서 생기는 화병이 감정을 제대로 표출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의 단면을 드러냈다면 이제는 무차별적으로 공격성을 표출하는 분노조절장애가 또 다른 자화상으로 똬리를 틀었다.

분노조절장애는 최근 한진그룹 총수 일가의 ‘갑질 논란’으로 다시 한번 세상에 이름을 알렸지만 이미 우리 일상에 깊숙이 스며든 ‘질병’이다. 의료계에서는 차이는 좀 있지만 성인 10명 중 4명꼴로 분노조절장애를 앓는 것으로 본다. 취업과 승진, 결혼과 육아, 가정과 직장에서의 갈등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이다.


대다수의 분노조절장애 환자는 ‘그러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스스로 화를 통제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한다. 그 결과로 돌아오는 것은 타인을 향한 폭언과 폭력, 그리고 자신에 대한 후회다. 분노조절장애를 일으키는 근본적 원인에 대해서는 학계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입장과 물질만능주의·경쟁우선주의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가 원인이라는 주장이 맞선다.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분노조절장애는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충동성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이코패스와는 엄연히 다르다”며 “분노조절장애에 대한 개념이 없었던 과거에는 단순히 성격이 다혈질이거나 괴팍한 것으로 여겼지만 이제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환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분노를 표출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우리 사회 특유의 문화가 하나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어른은 무조건 화를 참아야 하고 윗사람에게는 대들지 말아야 한다는 유교주의적 사회 통념이 분노조절장애라는 괴물을 잉태시키는 배경이 됐다는 것이다. 분노조절장애를 겪는 환자의 대다수가 자신보다 직급이 낮거나 나이가 적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분노조절장애는 한국인에게 유독 발병률이 높은 질환인 화병과 동전의 양면이다. 우리나라 중년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는 화병은 지난 1996년 미국정신의학회로부터 ‘Hwabyung’이라는 명칭으로 인정받아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화를 억지로 참아 우울증을 겪는 화병과 화를 제대로 표출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분노조절장애가 결국 한 뿌리에 맞닿아 있다는 얘기다. 대중심리학자 황상민 박사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 중 하나인 분노를 무조건 참아야 하는 대상으로 치부하고 정작 어떻게 표출해야 하는지는 알려주지 않는다는 점이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며 “각종 스트레스로 분노조절장애를 겪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이제는 국가 차원에서 대책 마련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