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이트’ 하베스트 이어 MB정부 CNK ‘다이아몬드 게이트’ 의 진실 파헤쳐



“1조원의 주식 대금은 누구 주머니로 들어간 것인가”



MBC 스트레이트가 ‘하베스트’에 이어 MB정부의 또다른 대표 자원외교 의혹인 CNK 다이아몬드 게이트를 샅샅이 파헤친다.

이번주 MBC ‘스트레이트’에서는 카메룬 다이아광산, CNK, 박영준 왕차관 등으로 기억되는 ‘다이아몬드 게이트’의 의혹을 보도할 예정이다. 2010년 12월 17일,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는 외교부 사상 유례가 없는 보도자료를 하나 내놨다. CNK라는 한국의 사기업이 아프리카 카메룬에서 “전세계 연간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3배, 즉 추정 매장량 4억2천만 캐럿”의 대형 광산 개발권을 확보했다는 것.



정부 기관인 외교부가 사기업의 호재를 보도자료로 내놓은 것은 정말 이례적인 일이었다. 정부의 발표에 3천원 수준의 주식은 약 20일 만에 1만6천원, 약 5배나 올랐다. 문제는 이 보도자료가 CNK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베낀 것이라는 점이었다.

다이아몬드가 존재 여부에 대한 의혹에 주가가 폭락하자 김 대사는 다시 다이아몬드가 있다는 2차 보도자료를 발행했다. 그러나 주가는 다시 폭락, 결국 CNK는 상장 폐지되기에 이른다.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가정이 파탄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도 있었다.

그런데 이 보도자료는 오덕균 CNK 대표→김은석 대사→박영준 지식경제부 2차관 순서의 보고를 거쳐 나온 것이었다. 당시 자원외교를 총괄하던 국무총리실에 근무하던 정권 실세 박영준 차관은 이보다 2년 전 카메룬에서 사금 채취 사업을 하던 기업들을 스스로 찾아가 주식상장 등을 제안했다는 증언을 ‘스트레이트’가 확보했다.

그런데 보도자료 배포보다 앞서 박영준 국무차장은 자원외교 명목으로 카메룬을 방문해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한국에 배정해 달라는 부탁을 했고, 한국 정부는 100억 원에 이르는 카메룬 지원 계획을 시작했다. 결국 CNK는 광산 개발권을 확보했다. 1년 매출액 8억 원의 작은 기업이었던 CNK는 주가 총액 1조원의 대형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그런데 CNK의 이러한 대박 신화는 우회 상장이라는 수법을 통해 주식시장 상장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CNK는 93억 원에 이르는 우회 상장 자금을 김찬경 씨가 회장으로 있는 미래저축은행에서 대출받았다

그런데 김찬경 회장은 자신이 이상득 당시 의원 등 정권 실세에게 뇌물을 줘서 실형을 선고받은 인물. 이상득 의원은 부인하지만, 오덕균 CNK 회장의 지인들 역시 오 회장이 이상득 의원에게 광산 개발권 취득을 도와달라는 부탁을 했다고 증언했다. 당시 사채시장엔 “CNK 주식에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등 의원 등 정권 최고위층의 자금이 유입돼, CNK 주식은 무조건 오를 것”이라는 설이 파다했다. 정권이 결탁된 주가 조작 사건이라는 의혹에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지만, 광산 조사를 맡았던 교수와 CNK의 우회 상장을 맡고 있던 전직 부장판사 등 핵심 고리 2명의 죽음으로 결국 CNK 수사는 오덕균 회장 1명만 집행유예를 받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말았다. 도대체 1조원의 주식 대금은 누구 주머니로 들어간 것인가.

이번주 ‘스트레이트’가 8년 전 한국을 강타한 다이아몬드 게이트의 진실을 추적해본다.

/최주리기자 sestar@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