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국민의 선택] 한국·바른미래 ‘당 대 당’ 통합…평화, 민주로 일부 흡수될 수도

■여의도에 다가오는 정계개편 '빅뱅'
與 정국 주도권 강화 속 야권 ‘보수대통합’ 카드 빨라질 듯
진보·보수 거대 양당체제 재편 ‘원내 1당’ 사활 건 싸움 예고
바른미래 호남계 반발에…민주·한국·평화로 흩어질 가능성도


6·13지방선거가 야당의 참패로 끝나면서 정치권은 계산기 두드리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야당은 구심점을 잃게 돼 침체에 빠진 반면 여당은 국민의 압도적 지지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여권의 정국 주도권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 구도로는 ‘야당 무용론’이라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여권 견제가 불가능해 야당을 중심으로 한 정계개편은 불가피하다. 특히 다음 선거가 국회의원의 생사를 결정할 21대 총선이라는 점에서 정계개편 규모는 상상을 뛰어넘을 수 있다. 정계개편에 따라 여야가 원내 1당 지위를 두고 사활을 건 싸움을 벌일 경우 빅뱅 수준의 헤쳐 모여가 진행돼 ‘거대 양당체제’로 돌아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ㆍ보궐선거 사전투표가 끝난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 마련된 광진구개표소에서 개표작업이 이뤄지고 있다./송은석기자

정치권은 우선 바른미래당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지방선거를 목표로 다양한 계파가 뭉쳤지만 초라한 성적으로 갈 길을 잃게 됐다. 창당 초기부터 이어진 유승민·안철수계 간 불협화음은 공천 갈등으로 격해졌고 양측은 선거 이후 갈라설 것이라는 분석까지 제기됐다. 당내 안철수·유승민계는 물론 보수·중도, 호남·영남계가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정계개편의 규모와 방향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보수진영의 요구가 큰 만큼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의 ‘당 대 당 통합’ 가능성도 나온다. 두 당이 합당할 경우 원내 1당은 물론 여권을 견제할 거대 야당이 탄생하게 된다. 전현직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 50여명으로 구성된 ‘자유한국당 재건비상행동’은 1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도부 교체와 함께 “보수 대통합의 문을 활짝 열라”고 요구했다. 앞서 안철수·김문수 서울시장 후보는 후보 단일화 논의 시 당 대 당 통합을 언급하기도 했다.

압승의 기세로 더불어민주당이 정계개편을 주도할 수도 있다. 민주당은 보수 통합이 진행될 경우 이를 막기 위해 ‘외부 수혈’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선거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 원내 1당 사수에 당력을 쏟을 가능성이 크다. 한때 한지붕 아래에 있던 바른미래당 호남계와 무소속 의원을 영입해 세 불리기를 할 수 있다. 진보·중도성향과 호남에 뿌리를 둔 민주평화당 의원들의 민주당행(行)도 관심사다. 소속 의원 대다수가 민주당에 흡수될 경우 민주당은 거대 여당으로 탈바꿈한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이를 견제한다는 명분으로 통합 논의에 나서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시나리오대로 간다면 20대 국회 들어 유지된 4당 체제는 무너지고 다시 진보·보수 거대 양당체제로 재편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당과의 통합에 대한 바른미래당 호남계의 거부감이 강해 극심한 진통을 겪을 수 있다. 바른미래당 호남계 의원들은 선거 기간 한국당과의 통합론이 나오자 즉각 반발 성명을 내기도 했다. 보수 통합에 대한 역풍이 불 수 있다는 점도 고민이다. 이 때문에 바른미래당 의원 개인 성향에 맞게 민주·한국·평화당으로 흩어지는 시나리오가 가능성이 더 크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총선까지 아직 2년이 남은 만큼 여론의 추이를 지켜본 뒤 선택할 수 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은 20대 국회에 담긴 다당제 민의를 의식해 정치실험을 계속할 수 있다. 양당 주류에 반발해 뛰쳐나온 만큼 민주당·한국당 복귀는 백기투항을 의미해 고심을 거듭하게 한다. 평화당에서 1명만 탈당해도 정의당과 의기투합한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은 교섭단체 지위를 잃게 된다는 점도 부담이다.

/류호기자 rh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