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태원 글로스퍼 대표"블록체인, 병역관리 등 공공분야에 먼저 적용돼야"

"軍복무 지원·공무원 선발 등
효율 높은 분야 선별 필요한데
인식 부족한 탓 도입 늦어져
IT강국 한국, 신기술 습득 빨라
블록체인 관련 산업 발전 유망
킬러콘텐츠 선점이 관건"


“잘 돌아가는 기존의 시스템을 굳이 블록체인으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병역 인적 관리나 공무원 채용 같은 공공 분야 등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분산 공유해야 하는 시스템에는 블록체인이 꼭 적용돼야 합니다.”

국내 블록체인 개발 1세대인 김태원(사진) 글로스퍼 대표는 블록체인 도입 분야를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최근 서울 한양종합기술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블록체인이 만드는 기회’ 세미나에서 강연을 마친 후 서울경제신문과 만난 김 대표는 “사병들의 안전한 군 복무를 돕거나 공무원 인재 선발과 관련한 정보 분산 관리에는 블록체인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가령 병영 내 인권침해 가해자나 관심사병의 인적 정보를 분산원장 기술로 군에서 관리하면 매년 반복되는 병영 내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대표는 “군에도 블록체인을 제안했지만 ‘군에 대한 부정적 인식만 줄 수 있다’는 반응이 돌아왔다”며 “사회 시스템의 기초적인 분야부터 블록체인을 도입해야 하지만 아직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신용평가정보(현 나이스신용평가)에서 근무한 김 대표는 지난 2014년 블록체인 기업 ‘LC컴퍼니’를 세웠고 블록체인 기반의 국제송금 서비스 ‘비트히어’도 개발했다.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준비위원장을 거쳐 현재 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서울 도산대로 인근에 본사를 둔 글로스퍼는 전 세계 12개 국적의 개발자들을 포함한 맨파워를 자랑한다.

그는 강연에서 “유럽 등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과거 인터넷 강국이었던 한국이 블록체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면 폭발력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에 암호화폐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는 점은 인정하나 블록체인의 전망을 어둡게 보는 시각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테스트베드가 되는 데 저항감이 크지 않고 1990년대 인터넷 육성정책으로 관련 산업을 견인해봤던 경험이 블록체인 발전에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글로스퍼는 코어 기술과 함께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상용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 결실로 나온 것이 세계 최초로 지방자치단체에 공급된 암호화폐 ‘노원(NW)’ 화폐다. 서울 노원구에서 봉사활동을 한 자원봉사자는 ‘노원’을 지급받아 구내 총 200여곳의 가맹점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생소한 지역화폐 발행은 쉽지 않았다. 지난해 글로스퍼가 지역화폐를 개발하는 데 2개월이 걸렸지만 지자체 조례 개정에는 6개월이 소요됐다. 올 초 화폐 발행 후 봉사활동이 급증하는 등 큰 호응을 받았다. 김 대표는 “법 제도는 기술 발전을 제대로 쫓아가지 못한다”며 “노원 화폐는 사회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환원하는 기술로 블록체인의 높은 활용도가 입증된 사례”라고 말했다.

사진제공=글로스퍼

소방관·경찰 등이 공무 수행 중 다쳤을 때 비대면·원격 치료나 창작자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는 데 필요한 저작권 데이터 관리 등에 블록체인이 사용되면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는 “급성장한 인터넷 산업의 핵심 자리를 차지한 것은 망·시스템 사업자가 아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같은 킬러콘텐츠”라며 “블록체인도 기반기술만이 아닌 어떤 킬러콘텐츠를 누가 먼저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오스트리아는 근대에 개방적인 음악 인재 영입 정책으로 음악강국이 됐다”며 “블록체인이 사람이 종속되지 않는 기술, 따뜻한 기술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이 먼저 만들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사진=박현욱기자 hw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