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당국 간의 육상·해상 핫라인이 조만간 완전히 복원되어 가동될 전망이다. 사진은 남북 장성급 회담 장면./출처=연합뉴스
남북 군사당국 간의 육·해상 통신선을 복구하고 가동하기로 남북 장성급 회담에서 합의됐다. 남북은 비무장지대(DMZ)내 6·25 전사자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공동조사와 지뢰제거 필요성에도 공감하고 후속 장성급회담 또는 군사실무회담에서 구체적으로 협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전날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장성급회담에서는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 완전 복원과 함께 서해 해상에서 함정간 국제무선통신망을 가동한다는 데 합의했다”면서 “가동 시기에 대해서는 후속 장성급회담 또는 군사실무회담에서 구체화하기로 했다”고 15일 전했다.
현재 서해지구 통신선이 가동되고는 있지만, 북측 구간의 회선이 낡아 통화 중 잡음과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동해지구 북한지역 통신선은 북측지역 DMZ에서 발생한 산불로 회선이 모두 타버려 회선을 신설해야 한다. 다른 소식통은 “후속회담에서 북측 구간의 낡은 회선 교체 및 신설 공사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2004년 제2차 장성급회담에서 합의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경비함정간 국제무선통신망 운영 및 시각(깃발) 신호도 다시 가동하기로 했다. 이 역시 추후 군사회담에서 실천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고 정부 소식통은 설명했다.
남북은 2004년 6월 국제상선공용주파수(주주파수 156.8Mhz·보조주파수 156.6Mhz)를 활용해 우리 함정이 “여기는 한라산”이라고 부르면, 북측은 “여기는 백두산”이라고 응답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북측이 2008년 5월부터 우리 함정 호출에 응답하지 않으면서 가동이 중단됐다.
소식통은 “DMZ 비무장화를 위한 큰 틀에서 판문점 JSA(공동경비구역) 비무장화 논의가 이뤄졌다”면서 “JSA 비무장화 논의를 시발점으로 DMZ내 GP(감시소초)와 중화기 철수 등의 의제로 넓혀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판문점 선언의 군사분야 합의 이행을 위해 남북 군사 당국이 이제 첫걸음을 뗐다”면서 “앞으로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을 위한 의제 하나하나를 차근차근 풀어나가자는 데 남북이 공감한 것이 의미”라 부연했다.
우리 측은 조만간 군 통신선을 통해 이달 말 또는 7월 중 후속 군사회담 개최를 북측에 제안할 것이라 전해졌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