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산시에 자리한 대구대는 지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113개 사회적기업을 말 그대로 ‘낳았다’. 이 가운데 5곳은 정부가 인증한 사회적기업이고 34개는 예비 인정을 받았다. 예비창업자와 창업 1년 미만 사회적기업에 멘토링과 최대 5,000만원의 창업자금, 업무공간을 지원한 결과다. 대구대 출신 사회적기업 ‘앨리롤하우스’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에게 제과제빵 기술을 가르치며 연 1억4,000만원 매출을 올리고 있다. 역시 대구대를 졸업한 ‘그린벨트의친구들’은 비어 있는 시설을 약용버섯 재배에 활용해 연 매출 1억7,000만원에 일자리 9개를 창출했다.
정부가 이 같은 사회적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환경오염 등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수익도 창출하는 사회적경제기업에 인재를 끌어들이고 실업난의 탈출구도 만들겠다는 목표다.
정부가 3일 발표한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을 보면 인건비 인센티브를 통한 인재 유인이 돋보인다. 지역 사회적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은 최대 연 2,400만원씩 2년간 인건비를 받을 수 있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창업 지원 규모도 연 500팀에서 1,000팀으로 키우고 지원 기간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다. 직장 퇴직 시기에 있는 신중년 근로자들도 오는 2022년이면 전국 34개 폴리텍대에서 연 1,000명씩 사회적경제 특화교육을 제공받고 제2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사회적경제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도 세웠다. 현재 한양대와 숭실대에만 있는 사회적경제 학부과정을 2022년까지 20개 대학으로 확대해 전공자 500명을 키우기로 했다. 또 신재생에너지·사회서비스·도시재생 같은 사회적경제 분야 5개를 교육하는 전문과정을 내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설치한다. 사회적경제 전용 온라인 교육 플랫폼(SE-배움터)도 만든다.
이와 함께 정부는 각 부처별로 나뉜 사회적경제 교육을 연계하기 위해 민관 합동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협의회’를 꾸리기로 했다. 김경선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이전까지 사회적기업을 바라보는 인식이 취약계층을 돕는 데 머물렀다면 현 정부는 심각한 청년 실업을 해소하는 ‘일자리 혁신’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을 격상시켰다는 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정부는 이날 50개 기업을 사회적기업으로 새롭게 인증했다. 이로써 국내 사회적기업은 총 1,978개로 늘었다. 이들 50개 기업은 장애인을 위한 제주도 여행을 개발한 회사(두리함께), 곤충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관 운영회사(숩속의 작은친구들) 등이다.
/세종=이종혁기자 2juzs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