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편의점 한 끼도 부담스럽게 만드는 최저임금 후폭풍

올해 최저임금 인상 이후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였던 가공식품과 외식 값이 최근 또다시 뛰고 있다. 가공식품은 과자부터 간편식까지 10개 중 7개의 가격이 올랐고 상승폭이 두 자릿수에 달한 것도 상당수다. 직장인과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프랜차이즈도 배달 수수료를 인상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올렸고 냉면·김치찌개 같은 외식 값도 대부분 인상됐다. 품목과 메뉴 불문하고 가격이 오른 탓에 이제 학생이나 직장인은 싼 맛에 자주 찾던 편의점 음식마저 부담스럽게 여길 지경이다. 최저임금의 후폭풍으로 서민들은 한 끼 식사조차 마음 편히 하지 못하고 있다.


물가가 이처럼 올랐어도 상승세는 도무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미 석유를 비롯한 국제원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5개월 연속 상승했고 곡물 가격은 1년 전보다 20% 가까이 오른 상태다. 여기에 올해 16.4%나 인상된 최저임금을 내년에 또 10.9% 올리기로 결정했으니 가뜩이나 부담스러운 인건비가 더 무겁게 느껴질 수밖에 없게 됐다. 원재료 가격 상승에 인건비 부담 증가까지 인상 요인이 망라되자 물가라고 가만히 있을 리 없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하반기, 특히 4·4분기로 갈수록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고 말한 것도,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겠다고 팔을 걷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설명하면서 “경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현장의 목소리가 매우 엄중하고 절박하다”고 강조했다. 경기 부진, 고용 불안에 물가 상승까지 겹친다면 그러잖아도 어려운 서민들의 삶은 더 힘겨워질 수밖에 없다. 먹고 살기도 어려운데 소비가 살아나길 바라는 것은 무리다. 세금으로 저소득층을 지원하고 임대료와 카드수수료를 내리는 것과 같은 미봉책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폭을 재심의해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과도한 임금인상으로 영세상공인과 자영업자는 물론 일반 서민들까지 고통받는 현실을 정부가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