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중심 정책 추진해야 4차 산업혁명 中企 성장해

중소기업硏 보고서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 중 3~4곳이
'4차 산업혁명 대응 못한다'고 답변
대출보다 투자 중심으로 지원하고
성실실패자 재기 시스템 구축해야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 10곳 중 서너 곳이 4차 산업혁명에 잘 대응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5할 가량이 투자자금 부족을 그 이유로 꼽아, 정부가 대출보다도 투자 중심으로 지원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발표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가·증강현실 △3D프린터 △드론 △로봇 △자율주행 △웨어러블 △헬스케어 △핀테크 △스마트팩토리·스마트홈·스마트시티에 종사하는 업체로 정의했다.


이 연구위원이 2016년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 305곳을 설문조사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에 잘 대응하지 못한다고 답한 곳은 전체의 36.3%였다. 이들 중 42.3%가 ‘투자자금 부족’을, 38.7%가 ‘전문인력 부족’을 그 이유로 꼽았다. 4차 산업혁명 규제에 부담을 느끼는 곳은 모든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 중 23%였다.

응답자 중 49.8%가 ‘자금·투자 및 세제혜택’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부에 요청하는 지원방안으로 꼽아 정부의 투자 진흥 정책이 절실한 것으로 풀이된다. ‘공정한 시장경제 구축’(37.4%), ‘각종 법률 정비 및 신산업 규제 혁신’(31.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은 일반 벤처기업보다 규모면에서 열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이들의 평균 매출규모는 약 40억원으로 전체 벤처기업(약 69억원)보다 낮았다. 같은 기간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은 평균 13.5명을 고용해 23.3명을 채용한 일반 벤처기업보다 적은 인원을 쓰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평균 업력은 2016년 기준 6.1년으로 같은 기간 전체 벤처기업(9.9년)보다 짧았다. 이들 중 업력 3년 이하 기업은 전체의 46.6%였다.

이에 이 연구위원은 정부가 융자·보증보다도 투자 위주로 4차 산업혁명 분야 벤처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벤처기업 대부분이 창업 초기 기업인데다 관련 산업군에서 모두 빠른 속도로 기술이 변화하고 있어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이 연구위원은 실패한 벤처기업이 다시 재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규모의 경제와 대·중소기업 간 상생을 위해서라도 인수합병(M&A)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를 위해 개방형직위를 활용해 전문가를 영입할 수 있도록 해 M&A 장애요인을 없애야 한다고 이 연구위원은 역설했다.
/심우일기자 vita@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