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9兆·방산 4兆·석화 5兆 투자…김승연의 '혁신성장 결기'

[한화 5년간 22조 투자·3만5,000명 고용]
체질개선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나서
고용효과 큰 서비스 분야서 2만명 신규 채용
정부의 성장·일자리 창출 정책 적극적 동참

“4차 산업혁명은 더 강력한 변혁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전사적인 혁신으로 미래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체질 개선에 나서주십시오.”

김승연 한화(000880)그룹 회장은 올 초 신년사에서부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역설했다. 이번 투자 역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다고 보고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김 회장의 판단이 크게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재계에 적극적인 투자와 고용창출 노력을 요청한 것과도 맞물려 있다는 평가다. 올해 한화그룹이 정부 요청에 앞서 한화큐셀을 4조3교대로 근무 제도를 변경하는 등 선도적인 조처를 한 것처럼 이번 투자안 역시 비슷한 맥락이라는 것이다.

문재인(왼쪽) 대통령이 지난 2월 취임 후 첫 대기업 방문지인 충북 진천군 한화큐셀 진천공장에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담소를 나누며 걸어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화큐셀이 좋은 일자리를 만들었다며 “업어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화는 5년간 22조원, 연평균 4조4,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투자액 외에는 구체적인 투자 대상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기존 사업을 더욱 고도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5조원을 투자해 최근 유화업계가 역량을 집중하는 자동차 경량화 복합소재 등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개발과 생산에 투입할 예정이며 한화케미칼(009830)과 한화토탈이 보유하고 있는 나프타분해시설(NCC) 추가 증설도 잡혀 있다.


미국에 현지 공장을 짓기로 한 태양광 분야에서는 가장 많은 9조원을 투입해 신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갈 예정이다. 석문호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발전사업 및 생산시설 신증설을 단행하고 서비스 분야에서는 4조원을 투자해 광교 등 신도시 복합개발과 산업단지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방위산업 분야에도 4조원을 쏟아부어 항공기 부품 개발에 나서는 동시에 수출 증가를 위한 국산화에 힘쓰기로 했다.

연간 3,000~4,000명 수준이었던 고용 규모는 최근 6,000명선으로 늘린 데 이어 올해부터는 연평균 7,000명을 웃도는 4대 그룹 수준으로 확대한다. 삼성을 제외하고 현대차와 LG의 신규 채용 규모는 연 1만명 수준이며 SK그룹은 8,000명 정도다. 대부분 고·대졸 신입과 경력직 등 신규 채용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다른 대기업과 달리 방위산업이나 석유화학 등 장치산업 위주인 한화그룹의 채용 규모가 7,000명이라는 점은 과소평가할 부분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3만5,000명의 신규 고용 인원 중 상당수는 고용 효과가 큰 서비스 분야에 집중됐다. 면세점을 운영하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027390), 한화리조트 등 서비스 계열사에서만 2만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주력 계열사인 한화케미칼·한화토탈·한화큐셀 등 석유화학·태양광 관련 계열사에서는 5,000명, 기계 및 방산 계열사에서 7,000명, 금융 계열사가 5년간 3,000명을 뽑을 계획이다.

동반성장 방안도 강화한다. 1,000억원대 상생펀드를 두 배 이상 늘려 4,0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협력사에 대해 저금리 대출 및 자금 지원을 하는 동시에 중소 협력사들의 생산성 향상과 연구개발(R&D)·판로개척 등도 돕기로 했다. 그룹의 자체 인재육성 사회공헌 플랫폼인 ‘드림플러스’를 강화하는 한편 청년 창업과 취업을 위한 플랫폼 구축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화 측은 이번 중장기 투자·고용 계획을 통해 올해 70조원 수준의 매출 규모가 오는 2023년에는 100조원에 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럴 경우 재계 5~8위인 롯데와 포스코, GS, 한화 사이의 순위 변동도 예상된다.

한화그룹의 한 관계자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며 “정부의 성장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려는 노력도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박성호기자 junpark@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