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은 구글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생활 침해의 위험이 있다고 13일(현지시간) 지적했다./연합뉴스
구글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원치 않더라도 이들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AP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프린스턴 대학의 컴퓨터공학 연구자들과의 공동 취재를 통해 안드로이드 장치, 아이폰에서 이뤄지는 구글의 이 같은 관행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길 찾기를 위해 구글맵스를 이용할 때처럼 위치정보를 쓰는 대다수 경우에 사용자의 동의를 미리 얻는다. 시간을 두고 위치정보를 기록하도록 동의한다면 구글맵스는 ‘타임라인’을 통해 일일 이동명세를 보여준다. 분 단위로 누가 어디에 갔는지 이동 내용을 기록해 저장하기 때문에 사생활침해 위험이 있다. 그래서 구글은 그런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기록’(Location History) 기능을 끌 수 있도록 한다. 구글은 “위치기록을 언제라도 끌 수 있습니다. 위치기록을 끄면 당신이 가는 곳이 더는 저장되지 않습니다”라는 안내문을 보낸다.
AP통신 주장에 따르면 이 안내가 사실이 아니며 위치기록을 중단해도 몇몇 다른 구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시간이 찍힌 위치 자료를 묻지도 않고 저장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글은 구글맵스를 단순히 열었을 때, 안드로이드폰의 자동 일기예보를 갱신할 때 위치를 저장한다. 위치와 아무 관계가 없는 검색을 할 때도 장소가 그런 방식으로 저장되는 때도 있다.
AP통신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20억명, 구글맵스나 검색에 의존하는 수천만 아이폰 이용자가 이런 사생활 문제의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 논란과 관련해 구글은 불투명한 부분이 전혀 없다고 항변했다. 구글은 AP통신에 보낸 성명에서 “구글이 사람들의 경험을 더 좋게 하려고 여러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며 “‘위치기록’, ‘웹과 앱 활동’(Web and App Activity), 장치 차원의 ‘위치서비스’(Location Services) 등이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런 도구를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견고하게 통제해 사람들이 켜고 끄고 언제라도 기록을 지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P통신은 위치기록을 끄고 웹과 앱 활동을 끄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타임라인만 사라질 뿐 구글의 위치기록 수집은 중단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용자들이 자기 구글계정에 들어가 위치기록을 지우는 게 가능하기는 하지만 수고스럽다고 덧붙였다.
구글에 비판적인 이들은 구글이 광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사용자들의 위치기록에 집착한다고도 주장했다. 광고기술업체인 디스틸러리의 지형공간정보학 수석 애널리스트인 피터 렌스는 “구글이 자료를 이용해 광고정보를 구축한다”며 “자료가 많을수록 수익이 커지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이번 논란의 제보자인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학자 K. 샨카리는 “위치추적에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명확하게 고지 않는다는 점이 정말 불쾌하다”고 말했다. /홍승희인턴기자 shhs9501@sedaily.com